범천도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응진당 범천탱
순천 송광사 응진당 범천탱
회화
개념
불교의 호법신중 하나인 신인 범천을 그린 불화. 불화.
정의
불교의 호법신중 하나인 신인 범천을 그린 불화. 불화.
개설

범천은 브라흐마(Brahma), 대범천(大梵天), 범천왕(梵天王), 범왕(梵王)이라고도 한다. 범천은 원래 고대 인도에서 우주창조의 신이자 비슈누,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3신 중 하나로 신앙되었으나 불교에 수용된 후 제석천과 함께 대표적인 호법신이 되었다.

연원 및 변천

범천의 신앙은 불교의 동점과 함께 실크로드, 중국으로 전해져, 6세기 이후 한역경전을 바탕으로 중국화된 소라머리[螺髻]의 범왕이 다수 조성되었다. 중국당나라 때에는 장안과 사천성 등지의 사찰 벽에 범천제석도(梵天帝釋圖)가 다수 조성되었으며, 당대∼송, 서하대에는 제석천과 함께 석가불의 공양천(供養天) 또는 문수(文殊) 및 보현보살(普賢菩薩)의 변상도(變相圖)에 그려졌는데, 제왕과 같은 모습에 손에는 흰색의 불자를 들고 좌우에는 범천녀(梵天女)가 시립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대∼명대에 이르러 범천은 제석천과 함께 수륙화(水陸畵)의 여러 신 중 하나로서 소매 폭이 넓은 조복(朝服)에 오량관(五梁冠)을 쓰고 쓴 제왕형으로 손잡이가 긴 향로를 들거나 홀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범천은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제석천과 함께 조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용

우리나라에서는 6세기말 60화엄경이 전래되면서 화엄신중 가운데 하나인 대범천왕(大梵天王)이 알려졌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석굴암의 범천상, 제석천상에서 보듯이 8세기 중엽 이후에는 제석천과 함께 부처를 호위하고 수호하는 대표적인 호법신중이자 신중을 대표하는 존상으로 널리 신앙되면서 불교미술의 주요한 주제가 되었으나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의 범천도는 남아있는 것이 없다. 고려시대에는 지장보살도 속에 제석천과 함께 등장하며, 부석사 조사당 벽화처럼 사찰에 벽화로 조성되기도 했다. 부석사 조사당벽화 범천도는 사천왕 및 제석천과 함께 그려졌으며, 여성적인 모습의 제석천과 달리 범천은 넓적한 얼굴에 굵은 목. 넓고 듬직한 어깨 등 전체적으로 남성에 가까운 건장한 인상을 풍긴다. 조선시대에는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소장 범천도(16세기)처럼 거대한 단독의 불화로도 제작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대흥사 범천도(1847년)에서 보듯이 제석도와 함께 사찰문에 봉안되는 불화로 단독 조성되었을 뿐 아니라 신중도 속에 제석천과 상대하여 천부(天部)를 대표하는 신격으로 등장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신중의 하나가 되었다. 신중도 속에 표현될 때는 보통 보관을 쓰고 소매가 넓은 옷을 입은 천신(天神)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8)
「범천 도상의 형성과 전개-인도에서 중국까지-」(김정희, 『강좌 미술사』3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1)
「조선시대 신중탱화의 연구Ⅱ」(김정희, 『한국의 불화(5)-해인사 본ㆍ말사 편(下)』, 성보문화재연구원, 1998)
「조선시대 신중탱화의 연구Ⅰ」(김정희, 『한국의 불화(4)-해인사 본ㆍ말사 편(上)』,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부석사 조사당 벽화 시론」(문명대, 『불교미술』3, 동국대학교박물관,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