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 조각 ( )

목차
관련 정보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조각
개념
자연 암벽에 부조나 선각 등으로 물체의 형상을 표현한 조각.
목차
정의
자연 암벽에 부조나 선각 등으로 물체의 형상을 표현한 조각.
내용

우리나라의 마애 조각은 내용 면에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선사시대의 바위 조각으로, 경상남도 울주군 천전리와 대곡리의 마애 조각이 유명하다. 호랑이·고래·사슴 등의 동물상과 인물상 그리고 추상적인 무늬들이 새겨져 있다.

그 밖에 대부분의 마애 조각은 불상을 주제로 하고 있어 흔히 마애불(磨崖佛)이라 일컫는다. 마애불은 엄밀한 의미에서 노출된 바위 면에 조각된 불상을 말한다. 그러나 조각된 면이 깊이 들어간 불감(佛龕)이나 사람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큰 석굴 사원의 벽에 새겨진 것도 이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마애불의 기원은 서기전 3∼2세기경 인도에서이다. 아잔타(Ajanta)나 엘로라(Ellora) 등의 석굴 사원의 외벽과 입구 주벽에서 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운강(雲岡)·용문(龍門)·맥적산(麥積山)·공현(鞏縣) 등의 석굴 사원에 많은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마애불이 제작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수가 산재되어 있다.

백제의 작품으로는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1962년 지정)과 태안마애삼존불(보물, 1966년 지정)이 대표적인 것이다. 신라의 마애불로는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국보, 1979년 지정)과 경주남산탑곡마애불상군(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한 많은 작품들이 있다. 특히 경주남산 일대에 많은 수가 존재한다.

고려시대 역시 법주사 마애여래의상(보물, 1963년 지정)·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 1963년 지정)·대흥사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 등 전국적으로 많은 작품이 남아 있다.

마애불은 자연의 바위 면을 이용하므로 대부분 규모가 큰 작품이 많다. 또한 법당에 안치하는 불상과는 달리 경관이 수려한 자연 속에 위치하고 있어 외경심과 경건함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그 제작이 성행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마애불』(문명대, 대원사, 1991)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