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당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반구당유고 / 유지화
반구당유고 / 유지화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유지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유지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활자본. 1870년(고종 7) 후손 환창(煥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양호(洪良浩)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7세손 환권(煥權)과 조석우(曺錫雨)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6수, 권2에 서(書) 12편, 찬(贊) 1편, 행장 1편, 제문 1편, 부록으로 기성동취록(箕城同醉錄) 1편, 만장(挽章) 5수, 제반구당벽상(題伴鷗堂壁上) 2수, 간서(簡書) 14편, 행장·묘갈문·충효쌍정찬(忠孝雙旌贊)·강당상량문(講堂上樑文)·충효쌍정려상량문(忠孝雙旌閭上梁文)·사우봉안축문(祠宇奉安祝文)·절사축문(節祀祝文)·춘조등급(春曹謄給)·가장(家狀)·유허기(遺墟記) 각 1편, 권3은 통문(通文) 14편, 장사(狀辭) 7편, 충효쌍정운(忠孝雙旌韻) 33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도배왕대동유고인승월대주래방(到配旺岱洞有故人乘月帶酒來訪)」은 저자가 충청남도 연산(連山)으로 귀양 갔을 때 친구가 술을 가지고 찾아오자 읊은 것으로, 그의 충효사상을 엿볼 수 있다. 「차송상우재운(次宋相尤齋韻)」은 송시열(宋時烈)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초연하게 세루(世累)를 벗어난 중에도 시대를 염려하는 간절한 뜻이 담겨져 있다.

「우후나공행장(虞候羅公行狀)」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최호(崔湖)·원균(元均)·이억기(李億祺)와 함께 진해(鎭海) 칠천량(漆川梁)에서 왜적과 접전하다가 전사한 나신도(羅伸道)의 행장이다.

서(書) 가운데 「기가아서(奇家兒書)」는 저자가 1636년(인조 14) 남한산성이 청나라 군사에게 포위당했을 때 천신만고 끝에 그곳으로 들어가 아들에게 봉양을 당부하며 부친 편지로, 척화사상이 나타나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해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