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기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기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6년 현손 재익(在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서정옥(徐廷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재익과 권석찬(權錫瓚)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39수, 권2에 서(書) 15편, 잡저 2편, 권3에 서(序) 2편, 기(記) 7편, 발(跋) 1편, 명(銘) 2편, 상량문 1편, 뇌사(誄辭: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글) 2편, 축문 6편, 제문 2편, 묘지명 1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 15수, 제문 3편, 유사·행장·행략(行略)·묘지명·묘갈명·묘표·사정중건기(思亭重建記)·상량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체로 소박하면서도 한아(閒雅: 경치가 고요하고 품위 있음)한 느낌을 준다. 「연산철정(連山鐵鼎)」은 연산에 있는 큰 솥을 보고 지은 것으로, 이 솥에 밥을 지어 흉년에 굶주리는 백성들에게 나누어주고 싶다는 소박한 심정을 나타내었다.

「여황목재공음(與黃牧齋共吟)」은 황곡(黃斛)과 함께 읊은 것으로 전원생활의 즐거움과 은둔사상을 나타내었다. 「수로십영(垂老十詠)」은 자신의 늙음을 발백(髮白)·면추(面皺)·이롱(耳聾)·배구(背傴)·목혼(目昏)·치활(齒豁)·체수(體瘦)·구번(口煩)·두현(頭眩)·각연(脚軟)의 부제를 달아 읊은 것이다.

「칠원강정환걸화난국매죽어강표암촉여제기후(漆原姜鼎煥乞畫蘭菊梅竹於姜豹庵屬余題其後)」는 강세황(姜世晃)의 사군자 그림에 붙인 시로, 영물(詠物)에 조예가 있음을 보여준다.

잡저 중 「배별성후사(拜別成侯詞)」는 성대중(成大中)이 흥해군수로 있다가 떠날 때 그의 치적을 찬양하면서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한 글이다.

집필자
이해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