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미기봉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권 1책. 1916년 회동서관에서 간행하였다. 국문 활자본. 남녀주인공이 인연을 맺는 과정을 그린 애정소설이다. 24회의 회장체(回章體) 소설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 시절 증청(曾淸)과 오응공(吳應公)은 절친한 친구사이다. 근처에 사는 황상서의 아들 진(珍)은 오한림의 딸과 약혼을 하였으나, 오공과 황공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약혼이 파기된다. 외가에 머무르고 있던 증공의 딸 운아(雲娥)는 우연히 담을 넘어다보다가 황진을 보고 서로 사모하게 된다. 그 뒤 둘은 몰래 시를 주고받으며 정이 깊어간다.

운아는 외가가 역적과 내통하였다는 혐의를 받자 어머니와 함께 오한림 댁으로 피신한다. 오 소저는 황진과의 약혼이 파기되었으나, 아버지의 유언을 지켜 다른 가문으로의 출가를 거부하고 있었다. 우연한 기회에 운아와 황진과의 관계를 안 오 소저는 운아에게 황진이 자신의 약혼자임을 알리고 황진을 같이 섬기자고 제의한다. 운아가 병이 걸려 위독하자 황진에게 편지를 하여 오 소저와 혼인하라고 한다. 이에 황진이 근심하고 있는데 시비(侍婢) 애월이 나타나 과거에 급제한 뒤 두 소저와 혼인하라고 권한다.

오한림의 이웃에 사는 주상서는 우연히 운아의 시를 보고 운아의 어머니를 찾아가 아들과의 혼인을 청한다. 어머니가 청혼을 수락하자 운아는 연못에 빠져 죽은 것으로 가장하고 집을 나온다. 황진은 운아와 주공자가 약혼하였다는 말을 듣고 실망하여 돌아간다. 운아는 정처없이 방랑하다 고민 끝에 강물에 몸을 던지지만 시비에 의하여 구출된다.

황진은 황성으로 가서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한림학사가 된다. 주상서는 다시 오 소저에게 청혼하지만, 오 소저는 이를 거절한다. 이에 주상서는 분을 품고 오 소저를 궁녀로 추천한다. 채녀관(采女官)이 오 소저를 데려가려고 오는데, 고향으로 내려오는 황한림이 이를 알고 구출한다. 황한림은 상경하여 황제에게 상소하고, 주상서를 유배시킨다. 마침내 황진은 운아와 오 소저를 맞아들이고, 시비 애월의 정성을 생각하여 첩으로 삼아 영화를 누린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어느 고전소설보다도 순수한 애정소설이다. 다른 애정소설에서 삽입해 놓은 계모담·쟁총담(爭寵譚)·전쟁담과 같은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남자 주인공 황진과 여주인공 운아와의 열렬하고도 기나긴 애정과정을 흥미진진하게 표현해 놓았다.

이 작품에서는 대부분의 고전소설에서 볼 수 있는 우연성이나 전기성(傳奇性)은 찾아볼 수 없고, 모든 사건이 필연적이고 현실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근대소설의 한 특징인 표현의 사실성을 볼 수 있다. 한 남성이 세 여인을 취한다는 점에서 애정소설로서는 주제상의 참신성을 발견할 수 없으나, 어느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구성상의 독창성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3)
집필자
김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