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안양암 대웅전 삼존불상 (서울 )

서울 안양암 대웅전 아미타삼존상
서울 안양암 대웅전 아미타삼존상
조각
유물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양암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아미타삼존상.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양암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아미타삼존상.
개설

200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아미타불좌상의 높이 50.4㎝, 무릎 폭 33.5㎝, 지장보살좌상의 높이 51.3㎝, 무릎 폭 31㎝, 관음보살반가상의 높이 43.5㎝, 최대 폭 16㎝. 아미타불좌상은 나무로, 지장보살좌상은 흙으로, 보살반가상은 불석(佛石)으로 각각 조성되었다. 아미타불좌상의 양 손은 따로 제작하여 끼워 넣은 상태이다.

안양암 대웅전 삼존불상 중 지장보살좌상을 제외하고는 조성 배경에 대한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전언에 의하면, 아미타불좌상은 강원도 고승 건봉사(乾鳳寺)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또한 「안양암지(安養庵誌)」에 의하면, 지장보살좌상은 1889년(고종 26) 경성(慶惺)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내용

안양암 대웅전 삼존불상은 아미타불좌상, 지장보살좌상, 관음보살반가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삼존불상은 각각 나무, 흙, 경주 불석으로 만들었는데, 원래 함께 발원된 것이 아니라 따로 만들어 모은 것일 가능성이 높다. 어떤 사정으로 불상과 보살상들이 함께 봉안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아미타불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으로, 통견(通肩)식으로 법의를 착용하고 가부좌를 취하고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살짝 올린 상태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으며, 왼손은 어깨까지 들어 올려 역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끝이 뾰족하고 큼직큼직한 나발(螺髮), 원통형 정상 계주(髻珠), 반원형 중앙 계주가 표현된 두발(頭髮) 부분이 얼굴 보다 커서 마치 가발을 덮어 쓰고 있는 듯하다. 인자한 느낌의 눈과 오뚝한 코, 살짝 다문 입, 큰 귀로 이루어진 상호(相好)에서는 불상으로서 갖추어야 할 종교미가 나타난다. 법의는 신체의 굴곡과 유기적이지 못하여 경직된 느낌이 든다.

지장보살좌상은 머리와 신체가 장방형으로서, 전체적으로 길어 보인다. 통견식으로 법의를 착용하고 가부좌를 하였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에 올려 손등을 정면을 향하게 하였으며, 왼손은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았는데, 손바닥 위에는 보주로 보이는 지물(持物)이 있다. 민머리를 한 보살상은 얼굴 표정 등에서 마치 승려를 실제 모델로 삼아 만들어진 것 같은 착각에 들게 한다. 보살상은 섬세한 표현이 가능한 소조 기법으로 제작되었지만, 얼굴 표정이나 법의의 주름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관음보살반가상은 경주에서 생산되는 불석(佛石)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돌이 불상 제작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8세기 이후이다. 원통형의 높은 보관을 쓰고 통견식으로 법의를 착용하였다. 가슴에는 승각기(僧脚崎)의 매듭이 표현되었으며, 왼쪽 무릎 앞에서 흘러내린 법의 자락은 U자를 그리고 있다. 장방형의 얼굴에 이목구비는 큼직큼직하며, 그 표정은 아미타불좌상과 비슷하다. 대좌 오른쪽에는 연꽃을 든 동자상이 있으며, 왼쪽에는 금강역사상이 조각되어 있다.

아미타불좌상과 관음보살반가상은 얼굴 표정이 비슷하여 같은 시기인 18세기 이후에, 소조지장보살좌상은 19세기 말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아미타불좌상은 전체적인 비례, 조형적인 특징, 무릎 앞과 옆으로 흘러내린 법의 자락의 표현에서 17세기 후반 전라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색난(色難)이 조성한 불상들과 유사하다. 관음보살반가상은 동자와 금강역사상을 권속으로 거느리고 있는 조선 후기의 관음보살상의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지장보살좌상은 복잡하지만 섬세하지 않고 모호하게 표현하던 19세기 존상의 특징을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안양암 대웅전 삼존불상은 원래 함께 발원한 것은 아니지만, 18세기 이후에 나무와 흙, 불석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불상이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려 준다. 지장보살좌상은 「안양암지」에 기록된 1889년의 조성 연대와 양식적인 특징이 일치하여 조선 말기 불교조각사 연구의 중요한 기준작이 된다. 보살반가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관음보살반가상은 연꽃을 든 동자와 금강역사가 권속(眷屬)으로 함께 출현하는 조선 후기의 도상적인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과 18세기 이후에 중요한 불상 재료로 사용된 경주 불석으로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인천광역시·경기도(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조계종출판사, 2012)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17세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 한국연구원, 2009)
『조선후기 불교장인 인명사전』(안귀숙·최선일, 양사재, 2009)
『조선후기 승장 인명사전』(최선일, 양사재, 2007)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