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대조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대조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미륵보살입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대조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미륵보살입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부여군 대조사에 있는 석조미륵보살입상이다. 보살의 머리 위부분과 원통형 보관(寶冠 : 보배로운 모자)이 이어지는 부분이 보수되었으며, 왼쪽 어깨 일부가 부서진 상태이다. 보살상은 약 10m의 크기이다.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에 관한 명문이나 문헌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배경은 알 수 없다. 비록 석조보살상이 미륵보살이라고 명명되고 있지만, 그 근거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내용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형식적인 면에서 유사하다. 다만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전체적인 비례가 좋고, 하나의 돌을 다듬어 조각하였다는 점과 부드러운 모델링을 구사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통견(通肩 : 옷이 양쪽 어깨를 덮고 있는 것) 형식의 법의(法衣 : 보살상의 옷)를 입고 있으며,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양 손으로 금속제의 연꽃 가지를 잡고 있다. 약 5등신(等身)의 신체 비례를 갖추고 있으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폭이 넓어져 안정감을 준다. 머리 위에는 원통형의 보관과 그 위에 가로로 긴 장방형의 보개(寶蓋 : 보배로운 덮개)를 2중으로 올려놓았다. 아래쪽의 보개 밑면에는 빗물이 얼굴로 타고 내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을 돌아가면서 얕게 파내었다. 네 모서리에는 장식을 매달기 위해 뚫은 구멍이 남아 있으며, 지금도 동령(銅鈴 : 청동 방울)이 매달려 있다. 원통형 보관에는 특별한 문양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들 보관과 보개는 보살상과 따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원래부터 이러한 형태를 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보살상은 하관(下官)이 넓은 삼각형의 얼굴에 부리부리한 눈, 부은듯한 눈두덩, 살짝 굽은 콧등, 음각으로 새겨진 콧날, 긴 인중, 살짝 내민 입술, 얇고 섬세하게 조각된 귀를 가지고 있다. 상호(相好 : 얼굴)는 부드럽고 온화한 표정이다. 또한 정갈하게 빗은 머리카락은 정면과 측면, 뒷면까지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양쪽 귀 뒤로 흘러내린 머리카락은 양어깨 위를 덮고 있다. 목에는 한 줄의 음각으로만 표현된 삼도(三道 : 세 개의 선)가 있다.

한편, 보살상의 몸은 고려시대 전기에 충청도 지방에서 유행한 석조 불상과 같이 대충 돌을 다듬은 다음,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각 진 어깨, 모호하게 처리된 양 손, 법의의 주름 표현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보살상의 몸은 사실적이라기보다는 그저 표현을 위한 표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오른쪽 팔 뒤로 넘어 온 법의 자락은 마치 칼로 도려낸 듯 딱딱한 느낌을 주고 있다. 그 나마 목 뒤를 감고 있는 옷깃의 입체적인 처리와 가슴걸이 영락 장식의 섬세한 표현이 약간의 사실감을 부여해 준다.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방형(方形)의 보개와 원통형 보관, 5등신에 가까운 신체 비례, 부리부리한 눈, 넓은 하관 등을 통하여 볼 때,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모델로 하여 고려시대 전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길쭉한 삼각형에 가까운 조형, 면류관(冕旒冠 : 왕이 쓰던 네모난 모자)과 유사한 방형 보개, 원통형 보관 등 고려시대 전기에 충청도 지방에서 유행하던 석조 불상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 전기에 유행했던 지방적인 특징을 지닌 대표적인 예이다. 보살상에 보이는 형식과 양식은 충청도 지방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것으로서 고려시대 전기의 불상 연구에 있어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충청남도․대전광역시』(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4)
『국보』제4권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5)
『한국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문화재대관』보물 중(문화재관리국, 1969)
「고려전기 석조관음보살상 도상연구」(조재영, 『불교고고학』5, 위덕대학교박물관, 2005)
Buddhist Sculpture of Korea(Kim Lena, Hollym International Corp., 2007)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