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문 ()

한문학
인물
고려후기 「논조수서」, 「역대가」 등을 저술한 문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전라북도 고창
정의
고려후기 「논조수서」, 「역대가」 등을 저술한 문인.
개설

전라북도 고창(高敞) 출신. 선대는 고창오씨 시조인 한림학사 오학린(吳學麟)이고, 할아버지는 직한림(直翰林) 오질(吳質)이며, 아버지는 탁라도(乇羅道: 제주도에 설치된 고려시대의 道) 구당사(句當使) 오인정(吳仁正)이다. 오세공(吳世功)의 아우이며 오세재(吳世才)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집안 대대로 유학을 본업으로 하여, 3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이름이 났다. 무신란(武臣亂) 전인 의종(毅宗) 때에 과거에 급제해 형 세공과 함께 높은 관직에 올랐다고 하나 구체적인 관직이나 이력은 알 수 없다.

다만,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권3의 「자오낭중세문가방광명사문장로차운문공(自吳郎中世文家訪廣明寺文長老次韻文公)」이라는 시를 통하여 낭중(郎中)을 지냈음을 알 수 있다.

1194년(명종 24)에 이규보가 「차운오동각세문정고원제학사삼백운시(次韻吳東閣世文呈誥院諸學士三百韻詩)」를 지었는데, 이를 통해 동각(東閣)을 지냈음을 알 수 있다. 시의 첫머리에 있는 이규보의 서문에 의하면, 오세문이 “고금의 시집 가운데 300운이나 압운(押韻)을 한 작품이 없는데, 나는 302운을 지었다.”고 자랑하면서 보여주었기에 차운(次韻)한다고 하고 있다.

평생 지은 시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고 하나 없어진 게 많아 전하는 작품은 매우 적다. 이밖에 이규보가 그의 「조수론(潮水論)」에 논평을 가한 「논조수서(論潮水書)」를 지은 것으로 보아 밀물·썰물에 관한 저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유사』에 의하면 「역대가(歷代歌)」를 지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파한집(破閑集)』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한국문학통사』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