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벽 ()

근대사
인물
1919년 3월 1일과 3월 5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 학생 만세 시위를 이끈 독립운동가.
이칭
효성(曉星)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4년
사망 연도
1928년
출생지
황해도 은율군
주요 경력
신생활사 이사|시대일보 경리부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2)
관련 사건
3·1운동
내용 요약

김원벽은 1919년 3월 1일과 3월 5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 학생 만세 시위를 이끈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1월부터 서울에서 학생 대표들의 독립운동 준비를 이끌었으며, 3월 1일 만세 시위와 3월 5일 학생 주도 만세 시위에 앞장서다 체포되었다. 출옥 후에는 신생활사와 시대일보사에서 창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의
1919년 3월 1일과 3월 5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 학생 만세 시위를 이끈 독립운동가.
인적사항

김원벽(金元璧, 1894~1928)은 황해도 은율군 출신으로, 호는 효성(曉星)이다. 1901년 은율군의 숭실학원을 거쳐 재령의 명신학교에서 배우고, 1911년에 경신학교에 편입하여 1912년에 졸업하였다. 1914년 4월부터 12월까지 보광학교 교사를 지냈다. 1915년에 연희전문학교 전신인 한국기독교대학(Korean Christian College)에 입학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1월 말 김원벽은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 간사무인 박희도의 주선으로 경성 시내 각 전문학교의 대표들을 만나 독립운동에 대해 논의하였다. 2월 중순에 전문학교 대표들과 회합한 후 2월 20일에 승동교회에서 제1회 학생간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준비하면서 보성법률상업학교생인 강기덕, 경성의학전문학교생인 한위건과 함께 각 중등학교의 학생 대표자를 뽑아 결속시켰다. 이때 경신학교와 경성고등보통학교를 담당하였다. 2월 28일에는 각 전문학교와 중등학교의 대표와 만나서 독립선언서를 나누고 배포 장소를 학교별로 정하였다.

3월 1일 정오가 지나자 시내 각 전문학교와 중등학교 학생을 비롯한 200여 명의 학생이 주1에 모였다. 학생들은 기다리고 있던 민족 대표들이 오지 않자 독자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만세를 부르면서 시위 행진에 나섰다.

3월 5일에는 서울에서 학생들이 주도하는 큰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오전 9시 남대문역(지금의 서울역) 광장에서 강기덕과 인력거를 타고 시위를 이끌었다. 이날 경찰에 체포되어 1920년 10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 형기를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 1921년 11월 경성감옥에서 만기 출옥하였다.

1922년 1월 잡지 『 신생활』을 발간하는 신생활사의 창립총회에 이사 자격으로 참석하였다. 사회주의 색채가 농후한 『신생활』은 1923년 1월 8일자로 폐간 처분을 받았다. 1922년 3월부터 1923년 4월까지는 연희전문학교의 서기로 일하였다.

최남선이 창간한 『 시대일보』의 창립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24년 3월 『시대일보』가 창간되면서 서무국의 경리부장을 맡았다. 창간 두 달 만에 자본금이 없어 최남선이 보천교에 신문 발행권을 넘기자 이에 반대하는 운동이 사회적으로 확산될 무렵 시대일보사를 떠났다.

황해도 봉산군 사리원면에 정착하여 환사운송점의 전무로 근무하면서 운송점의 연합체인 선운동우회에서 상무이사로 활동하였다. 1927년에는 봉산청년회 혁신과 사리원차지인조합의 창립을 주도하였다. 1928년 4월에 발진티푸스로 치료를 받던 중 숨을 거두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주2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박종린, 「효성 김원벽의 생애와 독립운동」(『동방학지』 18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주석
주1

서울특별시 종로 2가에 있는 공원. 원래 조선 세조 때에 세워진 원각사가 있던 곳으로 광무 원년(1897)에 영국인 고문 브라운이 설계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으로 건립되었다. 3ㆍ1 운동 때 독립 선언문을 낭독한 곳으로 유명하며, 원각사지, 팔각정, 앙부일영의 대석(臺石), 13층 탑, 귀부(龜趺) 비석 따위가 남아 있다. 정식 명칭은 ‘서울 탑골 공원’이다.    우리말샘

주2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정인(춘천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