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굿은 몸에 내린 신을 맞아 무당이 되는 무속의례이다. 신굿, 명두굿, 강신제라 부르기도 한다. 무당이 될 사람에게 신이 내리면 밥을 먹지 못하고 잠을 자지 못하며 환청·환영이 나타나는 등 불가사의한 질병인 신병을 앓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은 내림굿을 하여 무당이 되어야만 낫는다. 그러므로 내림굿은 신병의 치유와 성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내림굿은 평범한 세속의 인간이 신성한 능력자로 전환, 재생하는 신성통과 제의형식으로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내림굿은 준비 단계에서부터 본굿과 뒷전거리까지 정해진 절차대로 진행된다.
‘신굿 · 명두굿’, 또는 ‘강신제(降神祭)’라 부르기도 한다. 주로 강신무의 분포권인 중부 · 북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세습무의 분포권인 남부지방에서는 명두 · 법사 · 보살 등 선무당류에서 행하여진다.
무당이 될 사람에게 신이 내리면 밥을 먹지 못하고 잠을 자지 못하며 환청 · 환영이 나타나는 등 불가사의한 질병인 신병(神病)을 앓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은 내림굿을 하여 무당이 되어야만 낫는다. 그러므로 내림굿은 신병의 치유와 성무(成巫)라는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서울지역의 내림굿의 절차 및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신병이 오랫동안 계속되는 사람이 무당에게 점을 쳐보고 신이 내렸다고 하면 날을 잡아 내림굿을 하게 된다. 강신자는 굿하기 사흘 전에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7집이나 21집에서 무조(巫祖)인 대신상에 바칠 떡살을 동냥한다. 쌀을 받을 때는 대개 강신자가 치마를 벌려 앞자락에 받는다. 굿하기 전날 굿할 집(본인의 집이나 무당의 집) 대문에 황토 세 무더기를 놓고 문 위에 금줄을 쳐서 부정을 가린다.
굿의 절차는 일반 재수굿 열두거리에 내림굿 의식이 추가된다. 먼저, 일반굿과 같이 액과 살을 내쫓는 ‘추당물림’을 하고 나서, 부정거리 · 가망거리 · 말명거리 · 상산(上山)거리에 이어서 내림굿을 한다. 상산거리에서 대신상 앞에 신명상(神名床)을 놓는데, 이것은 팥 · 콩 · 쌀 · 참깨 · 물 · 여물 · 메밀 · 재 · 돈 등을 똑같은 모양의 종지에 각각 담고 백지로 덮어싸서 상 위에 늘어놓는 것이다. 무당이 상산노랫가락을 하고 나서 강신자에게 마음에 드는 무복을 입게 한 다음, 손에 방울과 부채를 들려서 춤을 추게 한다. 이때 장구와 제금을 빠른 가락으로 쳐주면, 강신자의 몸에 신이 내려 떨면서 춤을 추게 된다.
한동안 춤을 추고 나서 무당이 “어느 신이 드셨느냐?”고 물으면, 강신자는 자기에게 내린 신명을 모두 댄다. 강신자가 무업을 하는 동안 평생을 두고 이 신들을 모시게 된다. 이어 주위에 모인 사람들에게 점을 쳐주는데, 이를 ‘말문연다’고 한다. 말문은 강신자가 신을 받아서 처음 입이 열리는 것을 말한다. 다음에 무당은 신명상 위에 있는 종지 하나를 강신자에게 집게 하여 몸에 실린 신명을 알아내게 한다. ‘팥’은 서낭, ‘콩’은 군웅, ‘쌀’은 제석, ‘참깨’는 산신, ‘물’은 용신으로 선신을 상징한다.
이런 신명종지를 집으면 그 속에 든 것을 삼키게 하고, 잡귀나 도깨비인 ‘여물’, 부정인 ‘재’ 등 악신을 상징하는 신명종지를 집으면 부정치기를 하고 다시 종지를 집게 하는데, 선신의 신명종지를 집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시킨다. 이것은 강신자에게 허튼 신을 몰아내고 무속에서 신앙하는 선신을 모시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이 끝나면 강신자는 한바탕 춤을 춘 뒤 대신상에 놓인 ‘열두방기떡’을 구경꾼들에게 나누어준다. 이 떡을 먹으면 일년 내내 재수가 좋고 병이 없다 하여 다투어 먹는데, 이를 ‘방기떡 판다’고 한다. 강신자는 다시 빠른 가락에 맞추어 도무(跳舞)를 하고, 춤이 끝나면 주위 사람들에게 점을 쳐주는데, 새로 무당이 된 사람이 용하다 하여 다투어 공수받기를 원한다.
내림굿 과정이 끝나면 나머지 뒷부분은 재수굿과 마찬가지로 별상굿 · 대감거리 · 제석거리 · 호구거리 · 성주거리 · 군웅거리 · 창부거리 · 뒷전거리를 하여 굿을 마친다. 3일 뒤에 강신자는 굿을 해준 무당의 집 신전에 술과 메를 올리고 간단한 제를 올리는데, 이것을 ‘삼일치성’이라 한다. 내림굿을 받은 강신자는 주무(主巫)를 신어미 또는 선생으로 모셔 평생 관계를 맺으며, 무속의례 전반을 배우게 된다.
황해도의 경우도 서울지역과 비슷한데, 강신자가 신명종지를 여는 의례에서 단지 앞으로 어떤 무당이 될 것인가를 점치는 의미가 강하다. 물은 만물의 근원인 생명수이고 쌀은 만인을 먹이는 것으로 이 둘을 열면 큰 무당이 될 징조로 본다. 이 밖에 부채 · 방울을 숨겨놓고 격렬한 무악을 울려 강신자가 신들린 상태에서 찾아내게 함으로써, 무당으로서의 능력을 시험하기도 한다.
내림굿은 평범한 세속의 인간이 신성한 능력자로 전환, 재생하는 신성통과 제의형식으로 볼 수 있다. 현실계와 신성계는 동일한 공간과 시간 속에 공존할 수 없기 때문에, 강신자는 내림굿을 통해 현실적인 자아를 소멸시키고 신권적 존재인 무당으로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