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정 · 종1품의 실직한 전현직 관직자를 일컫는 명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신은 조선시대 정·종 1품의 실직한 전현직 관직자를 일컫는 명칭이다. 의정부의 삼정승과 좌우찬성, 중추부의 영사·판사가 대신이었으며, 전현직에 따라 '원임대신(原任大臣)'과 '시임대신(時任大臣)'이라고 일컬었다. 대신은 중신이나 관각당상·구경 등과 구별되어 국가의 가장 중대사를 논의하여 결정하고 중요한 임무를 맡았으며, 여러 가지 특별한 예우도 받았다. 조선 후기에는 비변사의 도제조와 호위청의 정1품 대장도 대신의 반열에 참여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정 · 종1품의 실직한 전현직 관직자를 일컫는 명칭.
제정 목적

의정부의 삼정승과 좌우찬성, 중추부영사 · 판사 등을 '대신'으로 일컫는다. 현직에 있거나 이 자리를 거쳐간 자들에게 국가의 중책을 맡기면서 다른 관직자와 차별화된 여러 가지 예우를 베풀었다.

내용

정1품종1품의 실직에 있거나 이를 거친 관직자를 '대신(大臣)'이라고 일컬었으며, 이를 구분할 때에는 전자를 '시임대신(時任大臣)', 후자를 '원임대신(原任大臣)'이라 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동반(東班)에서는 의정부의 영의정 · 좌의정 · 우의정(이상 정1품)과 좌찬성 · 우찬성(이상 종1품)이 대신에 해당하였고, 서반(西班)에서는 중추부의 영사 1명(정1품)과 판사 2명(종1품)이 대신에 해당했다. 의금부의 판사도 종1품 직으로 대신이지만, 이는 겸직이었다. 이외에 정 · 종1품의 품계를 지닌 충훈부군(君), 의빈부위(尉), 돈령부의 영사(領事)와 판사(判事)도 대신의 반열이었다. 주로 1품 관직자를 '대신'이라고 부르고, 이하 고위직 관직자를 '중신(重臣)'이라고 불렀으며, 관각당상(館閣堂上) · 구경(九卿)(육조 판서와 의정부의 참찬, 한성부판윤) 등과도 구분하여 일컬었다.

대신은 주로 의정 대신(議政大臣), 집권 대신(執權大臣), 원훈 대신(元勳大臣), 유도대신(留都大臣), 고명대신(顧命大臣) 등으로 불리우거나 활동했다. 다른 나라에 봉명 사신을 파견할 때, 여러 대신을 종사관으로 임명하여 보냈고, 국가에서 기우제(祈雨祭) 등을 지낼 때에도 묘사(廟社)에는 중신을 보내지 않고 대신을 보냈다. 또한 대신이 죽었을 때에는 중신과는 달리 조하(朝賀)의 정지나 철시(撤市)를 이틀 또는 사흘간 하는 등 차별화 하였다. 대신이 장관으로 있는 관서는 '대신 아문(大臣衙門)'이라 일컬었다. 대신 아문은 회계(回啓)하는 일도 승정원에서 재촉하거나 타이를 수 없었고, 대신 아문의 소속일 경우 아전이나 하례(下隷)라 하더라도 법조(法曹)에서 곧바로 가두지 못하고 반드시 대신에게 보고한 후에 체포하였다.

변천 사항

조선 후기에는 비변사(備邊司)가 상설 관부(官府)로 법제화되면서 묘당(廟堂, 비변사)이 정1품 아문이 되었고, 이에 따라 비변사의 도제조도 대신의 반열에 들게 되었다. 또한 호위청도 3청마다 정1품 대장(大將)이 장관으로 둔 관서가 되면서, 대신 아문에 해당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통편(大全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전율통보(典律通補)』
『육전조례(六典條例)』
『은대편고(銀臺便攷)』

논문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행행시 궁궐의 숙위와 유도군 연구」(『군사』 6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7)
정홍준, 「조선후기 복상의 절차와 방식」(『民族文化硏究』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4)
정홍준, 「16ㆍ17세기 권력구조의 개편과 대신」(『한국사연구』 84, 한국사연구회, 1994)

인터넷 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http://waks.aks.ac.kr/site/encysillok)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