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산문집』은 조선 후기의 학자 김희분의 문집이다. 간행 연대 미상의 목판본이다. 김희분은 대산 이상정의 학맥을 계승하고 김종덕, 류장원에게 수학하여, 안동의 재야 학자로서 활동했다. 『백산문집』에는 스승과 동료 영남 학자들, 제자들과 성리학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논변한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당대 안동의 학문적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 김희분(金熙奮, 17601822)의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순수(舜叟), 호는 백산(白山) 또는 백하(白下)이다. 김진동(金鎭東, 17271800)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명으로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01781)에게 수학하며, 과거 공부에 종사하지 않았다. 아버지가 사망한 뒤에 김종덕(金宗德, 17241797), 류장원(柳長源, 1724~1796)에게도 수학했다. 세거지인 안동에서 학문에 정진하다가 생을 마쳤다.
『백산문집』에는 간행 경위를 알려주는 서발문(序跋文), 간기(刊記)가 없으며, 여타 묘도 문자 등의 기록에서도 간행과 관련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4권 2책의 구성이다. 10행 20자, 상하내향2엽화문어미(上下內向2葉花紋魚尾)의 목판본이다. 목차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1·2에는 부(賦) 1편, 시 50수, 서(書) 29편이 수록되어 있다. 부(賦)인 「반창승부(反蒼蠅賦)」는 구양수(歐陽脩)의 「창승부(蒼蠅賦)」를 따라 지은 것이다. 파리를 소재로 인간적인 애증(愛憎)의 감정을 표현했다. 시에는 강원도 · 함경도 · 평안도 등지를 여행할 때 절경을 보고 지은 시가 많다. 「명승과선죽교(名勝過善竹橋)」 · 「등만월대(登滿月臺)」 등에서는 흘러간 역사에 대한 감회를 표현했다. 「해금강(海金剛)」 · 「관북만영(關北謾詠)」등은 서경성(敍景性)이 높다. 「수전위한발소상탄(水田爲旱魃所傷歎)」에서는 가뭄에 벼가 말라죽는 것을 보고 애타는 심정을 표현했다. 이 밖에는 만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체로 만시, 유람시 등, 작품의 성격에 따라 한데 모으되 시체(詩體)별로 분류하지는 않았다.
권1의 서(書)에는 스승 이상정(李象靖)과 이광정(李光靖)에게 보낸 서찰이 있지만, 일반적인 문안의 내용이다. 학문적인 토론은 스승 류장원(柳長源) · 김종덕(金宗德), 이상정의 제자 정종로(鄭宗魯), 김진동의 제자 남한조(南漢朝)와 그 제자인 남한호(南漢皜), 이상정의 학맥을 이은 유범휴(柳範休) 등과 주고받은 서찰에 포함되어 있다. 류장원에게 보낸 3편의 서찰에서는 주로 『대학』의 수기(修己) · 치인(治人)에 대한 경지(經旨)를 논변했다. 김종덕에게 보낸 서찰에는 『중용』에 관한 의목(疑目)이 첨부되어 있다. 남한조에게 보낸 서찰에는 『태극도설』에 관해 논변한 별지(別紙)가 있다. 권2의 서(書)는 이병원(李秉袁) 등 문인들의 유교 경전에 관한 질문에 답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 외에 이상정 문하의 동문인 족형(族兄) 김희주(金熙周)와 예(禮)의 체용(體用) 등에 대해 논한 것들이 있다. 마지막 서찰은 요절한 큰아들 김재원(金在遠)에게 보냈던 것으로, 매일 정진하고 석봉(石峯)의 필법을 익힐 것, 건강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권3에는 서(序) 1편, 기(記) 2편, 발(跋) 1편, 제문(祭文) 20편, 축문(祝文) 2편, 애사(哀詞) 3편, 뇌문(誄文) 7편, 상량문(上樑文) 1편, 잡저(雜著) 3편이 수록되어 있다. 유람하는 당형(堂兄)을 전송한 서문, 고조부의 구택인 팔오헌(八吾軒)의 기문, 장석우(張錫愚, 1786~1846)의 『대학의의(大學義疑)』 발문 등이다. 잡저의 「통문경문(通聞慶文)」은 남편을 위해 순절한 문경의 박씨 부인에 대해 포상을 건의하기 위한 통문이다. 이 밖에 저자가 1780년(정조 4)부터 이상정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으면서 문답한 내용을 모아 기록한 「사문문답(師門問答)」이 주목된다.
권4에 부록으로 저자를 위한 만사(輓詞) · 제문 · 행장(行狀) · 묘갈명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은 이돈우(李敦禹, 18071884)가 지었고, 묘갈명은 권연하(權璉夏, 18131896)가 지었다. 두 사람은 안동의 유학자들이다.
조선 후기 안동의 학문적 교류 양상을 보여 주는 문헌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