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편 9권, 추편 1권. 목활자본. 편저자는 조중윤(趙重潤) · 조중훈(趙重訓)으로 재종간이며, 경종∼ 영조초의 소론 영수였던 영의정 조태구(趙泰耉)의 후손들이다.
이 책의 편찬에는 신임사화의 가해 세력으로 지목되어 몰락한 그들 가문과 소론 일파의 정치적 정당성을 변호하기 위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내용은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으로부터 1792년(정조 16) 윤구종(尹九宗)의 처형사건까지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1721·1722년의 신임사화 관계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에는 숙종대의 노론 · 소론 분열과 대립, 제2∼6권에는 경종대의 신임사화 관계 자료, 제7·8권에는 영조대의 노 · 소론 갈등, 이인좌(李麟佐)의 난, 탕평책,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 관계 자료, 제9권에는 사도세자(思悼世子: 후에 장조로 추존됨)의 참변과 영조 · 정조시대 시파(時派) · 벽파(僻派)의 갈등을 수록하였다. 추편에는 소론에 대한 조정의 처분과 소론 측의 변명 자료들을 수록하였다.
이 책에는 편저자들의 주관적 서술이 드물고 대부분 여러 가지 문헌에서 채록한 자료들을 그대로 편집해 실었다. 인용 자료는 『영조기사(英祖記事)』 · 『정조기사(正祖記事)』 및 정조의 『황극편(皇極編)』, 남구만(南九萬)의 『약천집(藥泉集)』, 이삼(李森)의 『백일헌유집(白日軒遺集)』, 이건창(李建昌)의 『당의통략(黨議通略)』 등 16종의 문헌이다.
대부분은 소론계 인물들의 저술이지만, 민진원(閔鎭遠)의 『단암만록(丹巖漫錄)』과 같은 노론계 문헌도 포함되어 있다. 자료들은 주로 교서(敎書) · 전지(傳旨) · 비답(批答) · 계사(啓辭) · 상소(上疏) · 차자(箚子) · 공초(供招) 및 서한(書翰) 등의 원문이나 축약문이다.
이 책의 편찬자들은 당시 널리 보급되고 있던 노론계 당론서인 『신임기년제요(辛壬紀年提要)』의 편파성을 비판하고 사실을 공정하게 기록해 백세(百世) 후의 정론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사백록’이라 하였다. 서술 형식은 주관적 논평을 배제하고 자료 중심으로 편집하였다.
이 책에 수록한 자료들이 소론에 편중되어 취사선택된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신임사화 이후의 노 · 소 당쟁에 관련된 상세한 자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 활용가치가 높다. 특히 『신임기년제요』와 함께 비교, 활용한다면 조선 후기 노 · 소 당쟁 이해에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