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열 ()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한성임시정부 참모부총장, 노령대한국민회의 참모총장, 상해임시정부 군무총장,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한 군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춘교(春郊)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9년(고종 16) 3월 26일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문화(文化)
출생지
평안북도 박천
정의
일제강점기 때, 한성임시정부 참모부총장, 노령대한국민회의 참모총장, 상해임시정부 군무총장,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한 군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평안북도 박천 출신. 호는 춘교(春郊). 아버지는 유종정(柳淙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4년(고종 31)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쇼학교(成城學校)를 거쳐 190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이후 일본 근위사단에서 실무경험을 쌓고, 1904년 러일전쟁대한제국 파견 무관 자격으로 일본군에 종군하여 선천 부근에서 러시아군과 싸우기도 했다. 서울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 6군사령부에서 근무하다가 대한제국군에 복귀하였다.

대한제국군 무관학교유년학교 교관을 지내고, 1905년 군무국으로 전속된 뒤 참령(參領)으로 승진하여 시위대 기병대장과 참모국 제2과장을 지냈다.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지하운동을 시작했다. 이때 안창호(安昌浩) 등이 주도한 신민회의 반일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서북학회(西北學會)를 통해 계몽운동도 전개했다.

1911년 소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1심에서 10년,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1년 6개월 간 복역했다. 1913년 출옥 후 만주로 망명해 주로 길림(吉林) 등지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7년 노령 연해주 쌍성(雙城)에서 문창범(文昌範) 등과 전로한족회(全露韓族會)를 조직했다. 1918년에는 서일(徐一)중광단(重光團)에 가입했고, 1919년 2월 김동삼(金東三) · 김좌진(金佐鎭) 등과 「대한독립선언서」의 39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국내외 임시정부 추진세력으로부터 신망이 높아 한성임시정부에서는 참모부총장, 노령 대한국민회의에서는 참모총장,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군무총장(초대)에 각각 임명되었다. 이후에도 노백린(盧伯麟)과 교대로 총장직을 수행했다. 한때 사회주의운동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1921년 이르쿠츠크에서 개최된 고려공산당대회(高麗共産黨大會)에서 중앙위원이 되었고, 1926년 중국 길림(吉林)에서 고려혁명당이 창당될 때 위원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30년 임시정부로 복귀해 국무위원 · 군무부장을 지냈다. 1935년 난징(南京)에서 김규식(金奎植) · 지청천(池靑天) 등과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해 통일전선을 구축했다. 1938년 한국국민당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의 통합을 추진해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에 임명되었다. 1945년 2월 신한민주당을 창당해 홍진(洪震)과 당을 이끌며 광복에 대비했다.

1945년 광복 후 귀국하여 미군정청 초대 통위부장(統衛部長)을 지냈고, 한국전쟁 때 74세로 납북되었다.

상훈과 추모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압록강변의 겨울 -납북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이태호 저·신경완 증언, 다섯수레, 1991)
『독립유공자공훈록』8(국가보훈처, 1990)
『독립운동사』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춘교 유동열의 독립운동과 군사활동」(박종연, 『한국민족운동사연구』52, 2007)
집필자
송남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