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홍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남만청년총동맹 교육부 상무위원을 지내고, 함경도를 중심으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재건운동을 전개한 사회주의운동가.
이칭
이명
박재근(朴在根), 이기산(李基山), 전성하(全成夏), 이봉춘(李逢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5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명천
주요 경력
남만청년총동맹 교육부 상무위원|조선공산당 함남도위원회 조직부 책임자|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문홍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이다. 남만청년총동맹의 교육부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함경도를 중심으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재건운동을 전개하였다. 태평양노동조합 계열의 활동가들과 공동 투쟁을 전개하였다. 8·15광복 후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였고, 사회노동당과 근로인민당에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남만청년총동맹 교육부 상무위원을 지내고, 함경도를 중심으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재건운동을 전개한 사회주의운동가.
인적 사항

이문홍(李文弘)은 함경북도 명천 출신으로, 유년기에 가족과 함께 지린성〔吉林省〕 화룽현〔和龍縣〕 두도구(頭道溝) 장경촌(長境村)으로 이주하였다. 국자가(局子街)에 있는 길림성립사범학교 속성과를 졸업하였다. 1921년 룽징〔龍井〕의 동흥중학교(東興中學校)에 입학하였는데, 1925년 4월 졸업 후 두도구사립학교 교사가 되었다.

주요 활동

1924년 만주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였으며, 두도구 야체이카(세포조직)에 배속되었다. 1926년 11월 고려공산청년회 동만도(東滿道) 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7년 12월 남만청년총동맹의 교육부 상무위원이 되었다. 1928년 5월 남만청년총동맹 대표로 재중국한인청년동맹 창립대회에 참석하였다.

1928년 2월 한족노동당(韓族勞動黨) 대회에 남만청년총동맹 대표로 참석해 한족노동당을 재만농민동맹으로 개편하는 데 참여하였다. 1929년 4월 한해(韓海)의 지시로 귀국하여, 함경도를 중심으로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산청년회 재건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해 8월 함경남도 북청에 고려공산청년회 북청군라이콤과 하부 조직인 4개의 야체이카를 설치하였다. 1929년 10월에는 함경남도 이원(利原)에 고려공산청년회 이원군 라이콤과 야체이카를 설치하였다.

1930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강진(姜進)을 만나 노동자와 농민에 기초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전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1930년 5월 강진과 함께 귀국하여 기존의 조직을 해소한 후 이를 조선공산당 재건 그룹의 세포조직으로 개조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해 6월 조선공산당 함남도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직부 책임자가 되었다.

1931년 2월 함경북도 명천에 공산당 조직의 토대를 마련하는 지도 기관으로 명천군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그해 6월 이종희(李種熙)로부터 과거의 파벌적인 당 재건운동을 청산하고 혁명적 농노조운동에 매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같은 해 8월에는 한사빈(韓士斌)으로부터 지방의 혁명적 농민조합 ·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한 각 그룹의 대표자회의를 통해 당을 재건한다는 운동 방침인 ‘신지도이론’을 지도받았다. 9월 이후 함경남도 문천, 고원에서 각각 공산주의자열성자협의회를 개최하고, 해당 지역의 활동가들에게 혁명적 농민조합과 독서회 등을 조직할 것을 지시하였다.

1932년 4월 원산에서 태평양노동조합 계열의 활동가들과 함께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을 대상으로 적색노동조합을 조직하고 격문을 살포하는 공동 투쟁을 전개하였다. 1932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고, 1933년 12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12년 형을 선고받았다.

8‧15광복 후 조선인민공화국의 중앙인민위원회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그해 12월 전국농민조합총연맹의 결성대회에서 검사위원이 되었고,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그해 조선공산당의 조직국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11월 남조선노동당 결성에 참가하지 않고 사회노동당에 참여하였다. 1947년에는 근로인민당의 중앙 간부로 활동하였다. 이후 월북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지수걸, 『일제하 농민조합운동 연구』(역사비평사,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