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석인본. 1975년 아들 철현(轍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용현(權龍鉉)의 서문, 권말에 박효수(朴孝秀)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61수, 권2·3에 서(書) 6편, 잡저 33편, 권4에 역경여작(易經蠡酌) 9편, 권5에 서(序) 7편, 기(記) 9편, 발(跋) 1편, 잠(箴) 6편, 명(銘) 4편, 찬(贊) 2편, 상량문 5편, 권6에 축문 1편, 제문 8편, 애사 10편, 비(碑) 2편, 가장 2편, 전(傳) 1편,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여본수조후병길(與本倅趙侯秉吉)」은 당시 각 지방마다 폐해로 여기던 조적(糶糴)의 균배를 삼강팔목(三綱八目)으로 논정(論定)한 것이다. 당시 지방의 피폐상과 사회를 고찰하여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잡저의 「책문(策問)」들은 저자가 천하에 펴보고 싶던 경륜을 기록한 것으로, 법제(法制)·농상(農桑)·정전지제(井田之制)·고적(考績)·성현출처지도(聖賢出處之道)·수한(水旱) 등의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경전에 대한 식견과 현실을 꿰뚫어보는 직관력, 아울러 제도의 시원(始源)과 폐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사서문해(四書問解)」은 『중용』·『대학』·『논어』·『맹자』 순으로 편차한 것으로, 원문 또는 주해에서 핵심을 파헤쳐 고증학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역경여작」과 「팔괘명정수(八卦名定數)」·「십이월괘분설(十二月卦分說)」·「상하경괘다과불균설(上下經卦多寡不均說)」 등은 『주역』을 포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자세하게 분석한 글들로 참고자료가 된다. 「서기삼백전분해(書朞三百傳分解)」은 『서경』의 기삼백을 자세하게 주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