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우희(優戱) · 배우희(俳優戱) 또는 창우희(倡優戱)로 불리던 놀이는 재담을 주로 한 조희일 것으로 짐작된다. 우리 나라 문헌에는 ≪고려사≫와 고려의 기타 문헌에 꽤 일찍부터 조희에 관한 기록들이 보인다.
이러한 기록들에 의하면 조희는 우리 나라의 화극적 전통(話劇的傳統)의 출발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사≫에서 그 예를 들어보면, 1110년(예종 5)에 하공진(河拱辰)놀이의 기록이 보인다.
하공진은 거란 침입시에 포로가 되었으나 끝내 변절을 거부하다 살해된 공신인데, 배우가 있어 이 선대공신의 이야기를 놀이로서 기렸다고 한다. 이때 배우가 말을 주된 표현수단으로 하는 조희로써 공연하였음을 확신하게 한다.
≪고려사≫ 열전에는 공민왕 때에 배우가 거리에서 세도가 심하였던 염흥방(廉興邦)의 종들이 백성에게서 조세를 수탈하는 모양을 연출한 우희를 놀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여기서 조희가 시류의 악폐나 권세가의 횡포를 풍자하는 사회성을 띠기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조희는 이 같은 독연형태는 물론 여러 등장인물들에 의하여 놀아졌는데, 그 기록으로는 1165년(의종 19) 4월에 좌우번의 내시들이 채붕(綵棚)을 설치하고 경연으로 잡기를 연출한 내용이 보인다.
즉, 이국인이 고려에 와서 공물을 바치는 광경을 보여주는 공물바치기놀이이다. 이 때의 관리들은 모두 고관 · 귀족들의 자제와 선비들로서 직업적인 배우들은 아니나 그 당시 또는 그 이전부터 전래한 배우들의 놀이를 모방한 것으로 생각되며, 몸짓과 더불어 재담도 섞인 놀이였으리라 생각된다.
이 놀이는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소학지희(笑謔之戱)의 화극적 전개로 계승이 되었고, 조선 후기의 산대도감계통극의 대사형성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