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각 ()

목차
관련 정보
파주 삼릉 중 영릉 정자각 정측면
파주 삼릉 중 영릉 정자각 정측면
건축
개념
왕릉 앞에 지어진 ‘丁’자형의 제사건물.
내용 요약

정자각은 왕릉 앞에 지어진 ‘丁’자형의 제사 건물이다. 그 모양이 ‘丁’자와 같아 정자각이라고 불렀다. 정자각은 봉분 아래에 있으며 정자각 앞으로는 박석을 깐 향로와 어로가 있다. 향어로 맨 앞에는 홍살문이 놓인다. 정자각 좌우로는 수라간과 수복방이 대칭으로 놓여 제례에 필요한 간단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조선왕릉 정자각의 연원은 고려 시대에서 찾을 수 있다. 현존하는 조선 시대 대부분이 정전 3칸, 배위청 2칸의 5칸 정자각이다. 숭릉·익릉·휘릉·의릉 정자각만이 정전 5칸, 배위청 3칸의 8칸인데 이는 광릉에서 시작되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왕릉 앞에 지어진 ‘丁’자형의 제사건물.
개설

조선 왕릉의 정자각은 능에서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중심 건물로 그 모양이 ‘丁’자와 같아 ‘정자각(丁字閣)’이라고 불렀다. 정자각은 주1 아래에 있으며, 정자각 앞으로는 주2을 깐 향로(香路)와 주3가 있고, 향어로 맨 앞에는 홍살문이 놓인다. 정자각 좌우로는 수라간과 수복방이 대칭으로 놓여 정자각 제례에 필요한 간단한 준비를 할 수 있다. 물론 본격적인 준비는 홍살문 밖에 있는 재실에서 이루어진다. 조선왕릉 정자각의 연원은 고려시대에서 찾을 수 있으나 그 이전의 정자각 형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내용

현존하는 조선시대 정자각은 숭릉, 익릉, 휘릉, 의릉 정자각만이 정전 5칸에 배위청 3칸이 덧붙은 8칸 정자각이고, 나머지는 거의 대부분이 정전 3칸, 배위청 2칸의 5칸 정자각이다. 그러나 1674년 영악전의 기능이 통합되면서 8칸 정자각이 보편화되었던 시기도 있으며, 18세기 후반에는 퇴구(退構) 공간이 정전 안으로 들어오면서 정전의 남북 폭이 커지다가 제구(祭具)가 규격화되면서, 1800년부터는 지금과 같은 정전 남북 폭이 24척로 규격화하고 규모는 5칸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를 참고하면 정자각은 17세기 초에는 모두 5칸이며, 8칸 정자각은 1673년 효종의 영릉(寧陵)을 주4할 때부터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소혜왕후의 영릉(英陵)을 지을 때는 8칸으로 지었던 기록이 있다. 또 광릉(光陵) 정자각은 정전 좌우와 배위청에 각각 한 칸씩 달아내어 모두 8칸이 되었다.

『춘관통고(春官通考)』에 따르면 8칸 정자각은 광릉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이후 효종 영릉의 천릉(1673)시에 이를 모방하여 8칸 정자각을 지었으며, 이듬해에 지어지는 현종의 숭릉도 8칸 정자각으로 하였고 1680년 인경왕후의 익릉, 1683년 명성왕후의 숭릉, 1688년 장렬왕후의 휘릉, 1701년 인원왕후명릉, 1724년 경종의 의릉에서 8칸 정자각은 이어져 갔다.

1674년에는 흉례인 영악전 기능이 정자각에 흡수되면서 정자각 규모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이때는 5칸, 8칸의 문제보다는 제구를 설치하기 위한 정전의 남북 폭이 문제가 되었다. 이후 제구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규격화하여 1800년부터 지금과 같은 정전의 남북폭이 24척인 5칸 정자각이 정착되었다.

규격화된 5칸 정자각은 대개 주5주6을 사용한 익공계 건물이고 주7맞배지붕이며 기둥은 원기둥을 사용했다. 정전은 정면3칸, 측면2칸의 규모이며 내부에는 고주가 없는 2평주5량가 형식이고 양측면은 3평주5량가로 구성하였다. 배위청은 삼량가 맞배지붕으로 박공면에는 모두 풍판(風板)을 설치하였다. 정전과 배위청 바닥에는 모두 방전을 깔았으며 배위청은 사방이 트여있다.

흉례시에는 정전 쪽 한 칸을 임시로 창호로 막아 사용했지만 길례와 평상시에는 트여있는 것이 보통이다. 정전은 전면 3칸은 모두 분합문을 달며 뒤쪽은 어칸만 분합문을 달고 양쪽 협칸과 측면은 주8을 설치한다. 지금은 내외부 벽은 모두 단청으로 마감했으나 의궤 기록에는 내부벽은 모두 백릉화지를 바르고 청릉화지로 띠를 돌렸다. 외부는 중방이상은 단청을 하고 이하는 화방벽을 설치했다.

참고문헌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대계4-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조선후기 영악전 기능수용에 따른 정자각 평면변화 고찰」(신지혜, 『건축역사연구』 65, 2009)
「정자각과 가정자각의 조성원칙에 관한 연구」(홍석주,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5)
「조선왕릉 8간 정자각 고찰」(김왕직,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5)
「조선조 산릉 정자각 연원 소고」(김동욱,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5)
「산릉도감의궤를 통해 본 17세기 정자각의 원형 연구」(구선이, 명지대석사논문, 2012)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신지혜, 경기대박사논문, 2010)
「조선시대 능원 정자각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최윤화, 경기대석사논문, 2001)
주석
주1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서 무덤을 만듦. 또는 그 무덤. 우리말샘

주2

얇고 넓적한 돌. 우리말샘

주3

임금이 거둥하는 길. 우리말샘

주4

산릉을 옮겨 모심. 우리말샘

주5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우리말샘

주6

촛가지가 둘로 된 익공. 우리말샘

주7

처마 끝의 서까래 위에 짧은 서까래를 잇대어 달아낸 처마. 우리말샘

주8

화재 따위의 재해를 막기 위하여 불에 타지 아니하는 재료로 만들어 세운 벽. 주로 전통 건축에서 쓰인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왕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