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사 응진전 석조 석가여래삼존상 복장물 일괄 ( )

불교
문헌
문화재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응진전의 석조석가여래삼존상에서 나온, 발원문을 포함하여 후령통, 『묘법연화경』 낱장,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 등의 복장물.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668년(현종 9)
소장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6년 9월 21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내용 요약

장안사 응진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복장물 일괄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응진전의 석조석가여래삼존상에서 나온, 발원문을 포함하여 후령통, 『묘법연화경』 낱장,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 등의 복장물이다. 이 복장물은 불상과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납입되었고, 응진전의 중창 시기와 참여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응진전의 석조석가여래삼존상에서 나온, 발원문을 포함하여 후령통, 『묘법연화경』 낱장,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 등의 복장물.
서지사항

장안사(長安寺) 응진전(應眞殿)의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石造釋迦如來三尊坐像) 주1에는 주2을 포함하여 주3,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낱장,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觀世音菩薩寶篋手眞言)」 등이 있다.

가장 윗부분에 발원문이 있고, 다음에 『묘법연화경』, 후령통,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 다라니(陀羅尼) 순서로 납입되었다. 석가여래좌상의 밑바닥에는 태의(太儀)가 시주한 다라니가

『법화경(法華經)주4』은 1668년(현종 9) 울산 운흥사(雲興寺)에서 개판한 동일 판본의 인출지이다. 원래 7권본이지만 권1만을 간행하였다.

『법화경』의 구성은 권두에 2장으로 된 변상도(變相圖), 「묘법연화경홍전서(妙法蓮華經弘傳序)」, 「묘법연화경요해서(妙法蓮華経要解序)」 및 계환해(戒環解)가 있다.

변상도는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로 2매의 판에 새겼는데, 주5 바깥 좌우 하단에는 시주자 명이 새겨져 있다.

제1판의 우측 하단에는 ‘태영비구(太英比丘)’, 좌측 하단에는 ‘이립양주(李立兩主)’, 제2판의 우측 하단에는 ‘김천수(金千秀)’, 좌측 하단에는 ‘막덕양주(莫德兩主)’라는 시주자 명이 각각 새겨져 있다.

본문이 끝난 다음에 간기(刊記)와 간역질(刊役秩)이 있다.

간기는 “강희칠년칠월일(康熙七年七月日) 경상도울산서운흥사개판(慶尙道蔚山西雲興寺開板)”이므로 1668년에 울산 운흥사에서 개판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주6는 계신(戒信)이고 화주(化主)는 학훈(學勳)과 연희(演熙)이다.

석가여래좌상에서는 62장이 수습되었는데, 변상도부터 권말까지 권1의 전체가 결장(缺張) 없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미륵보살좌상에서는 14장이 수습되었는데, 변상도 2장과 장40~51의 12장이다. 좌측 여백에 ‘지득선(池得先)’이라는 시주자 이름이 주7되어 있다.

제화갈라보살좌상에서는 23장이 수습되었는데, 변상도 2장과 장31~51의 21장이다. 좌측 여백에 ‘수찬(粹贊)’이라는 시주자 명이 묵서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석가여래좌상에서 수습된 조성 발원문은 앞면의 1행에 “강희이십삼년갑자오월일(康熙貳拾參年甲子五月日) 경상도기장현중북면불광산장안사(慶尙道機張縣中北面佛光山長安寺)"라는 기록과 함께 나한인권화주(羅漢引勸化主)로 주8을 비롯한 인명이 나열되어 있다.

이어 장안사의 승려 조직과 법명, 147명의 시주질(施主秩)이 기록되어 있다.

발원문을 보면 응진전 불상의 제작 시기가 1684년(숙종 10)이며, 이 불사에 참여한 시주자들은 주로 승려와 재가신도들로 구성되었다.

또한,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 다라니에 시주자 이름을 묵서한 예가 많으며 경전을 시주하거나 불상 조성에 참여한 인물과 일치한다.

김방한(金邦翰, 1635~1698)이 1660년(현종 1)에 쓴 「장안사대웅전기(長安寺大雄殿記)」에 1638년(인조 16)에 태의(太儀)가 좌우 전각을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응진전과 명부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복장물 가운데 다라니의 시주자로 태의가 등장하므로 응진전의 중창자가 복장물의 다라니에서도 확인된다.

의의 및 평가

장안사 응진전의 복장물은 발원문과 후령통, 각종 전적, 다라니 등이 불상과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납입되었고, 응진전의 중창 시기와 참여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는 지역 사원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선 후기 지역 불교사, 미술사 연구에 도움이 된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6년 9월 21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이희정,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불석제 불상의 등장과 유행」(『불교미술사학』 14, 불교미술사학회, 2012)
이희정, 「창원 성주사 지장전과 영산전석조불상에 관한 연구」(『문물연구』 18, 2010)
최선일, 「17세기 후반 조각승 승호의 활동과 불상 연구」(『선문화연구』 8, 2010)
주석
주1

불상을 만들 때, 그 가슴에 넣는 물건. 금ㆍ은ㆍ칠보(七寶)와 같은 보화(寶貨)나 서책(書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비는 내용을 적은 글.    우리말샘

주3

유물 가운데 복장(服藏)을 넣는 통.    우리말샘

주4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5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7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8

육체 밖에 따로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적 실체.    우리말샘

집필자
조명제(신라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