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과거시험 후 소속 서리로 하여금 제문(製文 : 과거시험지)을 붉은 글씨로 등사하게 하던 관원.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과거시험 후 소속 서리로 하여금 제문(製文 : 과거시험지)을 붉은 글씨로 등사하게 하던 관원.
내용

이를 이른바 역서(易書)라고 하는데, 채점관과 수험자 사이에 글씨를 통한 부정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등록관은 주로 성균관 관원이 임명되며, 이들 휘하에 몇 사람의 서리들이 차출되었다. 이러한 역서의 과정에서 오히려 등록관 또는 그 서리에 의한 과시부정이 간혹 있었다.

즉, 등록관 스스로가 청탁에 의하여 역서 중에 특별한 표시나 개서를 하는 경우, 또는 등록관 몰래 하급서리가 시권을 개수하는 것 등이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세도가의 자제들 가운데 등록관을 매수하거나 자기가 잘 아는 서리를 등록관의 서리로 보내어 부정합격을 꾀하는 자가 많았다.

1677년(숙종 3) 증광문과 복시 때 등록관이 대제학 민암(閔黯)과 그의 아들 주도(周道)의 청탁을 받고, 주도의 시권을 칼로 긁고 개서하다 붙잡힌 사건과 1710년 증광문과 복시에서 서리가 예조판서 강현(姜鋧)과 그의 아들 세윤(世胤)의 청을 받고 세윤 시권의 주초(朱草)를 유별나게 정서해주다가 처벌당한 사건 등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국역 연려실기술』(민족문화추진회, 경인출판사, 1966)
『한국의 과거』(이성무, 한국일보사, 1976)
「학제와 과거제」(조좌호,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80)
집필자
이순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