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천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 학자, 신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 학자, 신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저자의 유고는 본래 「사고(私藁)」라는 명칭이 붙은 것, 「기졸(記拙)」이라는 명칭의 것, 조수(鳥獸)·초목(草木)·중어(中魚)의 이름을 기록한 것이 각각 한 권씩 있었는데, 이 가운데 「기졸」은 없어져서 정인보(鄭寅普)가 따로 전하여오던 저자의 초고를 베끼고 보충하여 1937년에 세 권으로 편집하였다고 한다.

서지적 사항

3권 3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에 기(記)·소(疏) 각 1편, 제문 11편, 만장(挽章) 1편, 행장 5편, 묘지 12편 등이 실려 있고, 권2·3은 목록에는 잡저로 되어 있는데 서(序)·소(疏)·묘문(墓文)·명(銘)·서(書)·시 등이 편차 없이 섞여 있다. 권말에 정인보의 「석천유고기(石泉遺稿記)」가 있다.

시는 정약용(丁若鏞)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과 화운(和韻)한 것 등 모두 8수가 실려 있는데, 담박(淡泊)하고 원만하여 당대에 고래의 문체와 같다는 평을 들었다고 한다.

권2의 잡저 가운데 「신유상고(辛酉喪考)」는 저자가 아버지 대우(大羽)의 상을 당하여 분곡(奔哭)에서부터 상복을 벗기까지의 상례(喪禮)를 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적어놓은 기록이다.

서(序)는 『상서고주(尙書古註)』·『이십오편(二十五篇)』·『백편고(百篇攷)』·『태교신기(胎敎新記)』·『시경이문(詩經異文)』·『노자지략(老子旨略)』 등의 책에 붙인 것이다. 이로써 저자가 경서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음과 외할아버지인 정제두(鄭齊斗)의 학문적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집필자
이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