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극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김홍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김홍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33년에 후손 인식(仁植)·원철(元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과 권말에 직원(直源)과 원철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부(賦) 8편, 시 81수, 소(疏) 2편, 기(記) 1편, 발(跋) 1편, 제문 2편, 축문 2편, 묘지명 1편, 행장 4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유두(流頭)·중구일(重九日)과 같은 명절에 감회를 읊은 것, 「존양성찰(存養省察)」처럼 수양의 중요성을 읊은 것, 술을 마시며 자연의 경관을 읊은 것 등 그 내용이 다양하다. 윤회보(尹晦甫)·이극효(李克孝)·황도광(黃道光), 스승인 유성룡(柳成龍) 등의 시에 차운(次韻) 한 것도 있다.

계사(啓辭)는 대부분이 사직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서(書)는 대부분 당대의 명망가인 유성룡·정탁(鄭琢)·한준겸(韓浚謙) 등과 주고받은 것이 많다.

잡저의 「무극이자출어노자론(無極二字出於老子論)」은 ‘무극’이라는 말은 본래 노자가 하였다고 한 송나라의 유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설을 비판하고 정통 성리학자의 입장에서 태극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제승수변책(制勝守邊策)」은 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저자의 행장과 묘지명은 함께 학문을 연마한 이준(李埈)과 정경세(鄭經世)가 지었다.

집필자
이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