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운산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과 심원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본래 이름은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禪雲寺)가 있어 선운산이라 널리 불리게 되었다. 동쪽의 구황봉 산줄기와 서쪽의 선운산 산줄기 사이에 선운천이 북동쪽 방향으로 흐르고(선운 계곡), 주진천(인천강)으로 합류하여, 북쪽의 줄포만(곰소만)으로 유입된다.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릴 만큼 암석산과 계곡미가 빼어나고 숲이 울창하다.
선운산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과 심원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산으로, 경위도는 동경 126° 35′, 북위 35° 30′이며, 해발고도는 336m이다. 1979년 12월에 이 일대 43.7㎢를 도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1984년에는 국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북쪽의 부안군 변산반도와 함께 우리나라 주1-신생대[^2] 화산암류 중 화산체의 형태가 잘 보존되어 지질학적, 학술적 가치를 평가받아 2017년 9월 국내에서 10번째 국가 지질 공원(전북 서해안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았다. 그리고 2023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으로 인증받았다.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릴 만큼 암석산과 계곡미가 빼어나고 숲이 울창하다.
본래 이름은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禪雲寺)가 있어 선운산이라 널리 불리게 되었다. 선운이란 구름 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을 가리킨다. 즉, 선운산이나 도솔산 모두 불도를 닦는 산, 불교와 관련된 산 이름이다.
선운산은 아산면과 심원면의 경계를 따라 북쪽에서부터 주3, 선운산(336m), 개이빨산(345m), 천황봉(329m), 천마봉(284m), 배맨바위(315m), 청룡산(314m) 등 남북으로 이어진 산줄기 상에 위치한다. 선운산의 동쪽 아래에는 선운사(해발고도 40m)가 위치하며, 동쪽에는 남북 방향으로 노적봉(253m), 구황봉(298m), 인경봉(263m), 비학산(308m)이 연결되고 있다. 동쪽의 구황봉 산줄기와 서쪽의 선운산 산줄기 사이에 선운천이 북동쪽 방향으로 흐르고(선운 계곡), 상류에 도솔계곡과 도솔저수지가 있다. 선운천은 주진천(인천강)으로 합류하여, 북쪽의 줄포만(곰소만)으로 유입된다.
선운산 지역은 후기 백악기에 화산 활동이 일어났던 곳으로, 선운산 화산암의 원형은 최대 직경이 약 13km에 달한다. 이 지역은 백악기 화산 활동의 과정과 그 전후에 나타난 다양한 화산 분출 작용과 더불어 퇴적 작용에 관한 정보를 잘 볼 수 있는 백악기 화산암체로 화산체의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지질명소로 지정된 곳은 선운산 남쪽에 위치하는 천마봉, 도솔암 마애봉, 진흥굴이다.
식물 자원으로는 1967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과 1991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창 삼인리 송악 등이 있다.
선운산의 동쪽 계곡에 위치하는 선운사는 조계종 24교구의 본사로 577년(백제 위덕왕)에 검단선사가 창건하고, 남서쪽에 위치하는 참당암(懺堂庵)은 진흥왕의 왕사인 의운(義雲) 국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선운 계곡에는 도솔암, 석상암, 동운암, 참당암이 있는데, 옛날에는 89개의 암자가 골짜기마다 있었다고 한다. 선운사에는 1963년에 보물로 지정된 고창 선운사 대웅전 · 고창 선운사 금동 지장보살 좌상 ·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 지장보살 좌상과 1984년에 보물로 지정된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1994년 보물로 지정된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 좌상 등이 있고, 1971년에 지정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선운사 석씨원류 경판 등을 비롯한 많은 국가유산이 있다.
그 외에 도솔암 마애불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영산전 목조 삼존불상, 육층석탑, 범종, 약사여래불상, 만세루, 백파율사비, 참당암 동종, 선운사 사적기 등이 지방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백파율사비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이다.
도솔 계곡 방향으로는 장사송과 진흥왕이 수도했다는 진흥굴, 서쪽 1㎞ 지점에 위치하는 참당암, 개울 건너 산 중턱에 이 산에 침입하는 마귀를 방어하는 신장 역할을 하는 봉두암(일명 투구봉)이 우뚝 서 있으며, 그 위 산등성이에 돌아앉은 바위는 도솔천에 들어오는 마귀를 방어하는 사자암이고, 도솔암 우측으로 층층의 바위 계단을 오르면 절벽 위에 도솔천 내원궁 즉 상도솔이 있다. 이곳에서 우측 암벽을 오르면 말 발자국이 파여 있어 이를 진흥왕의 말 발자국으로 전하며, 만월대와 선학암이 있다. 그리고 깎아지른 듯한 암벽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는 도솔암 마애불, 용문굴, 낙조대, 천마봉이 있다.
또한 선운산에는 풍천장어, 주4, 복분자술, 동백기름 등의 특산물과 동백나무와 상사화가 유명하다. 검단대사가 도둑들을 모아 놓고 천일염 제조법을 가르쳤는데, 그에 대한 보은염(報恩鹽) 공양의 관습이 선운사에 전해 내려 온다. 풍천장어는 주진천(舟津川)이 서해에 합류하는 심원면 월산리 부근에서 많이 잡히며 양식도 하고 있다.
교통편은 서해안 고속도로 선운산 IC - 서쪽으로 22번 국도 – 선운사 터널 – 삼인교차로 – 선운산 주차장으로 올 수 있다. 고창읍에서는 15번 지방도 – 고창 고인돌 공원 - 아산면 – 아산교차로 – 734번 지방도 – 풍천터널 – 선운산 주차장으로 올 수 있다. 그리고 선운산의 등반코스로는 선운사 – 석상암 – 삼거리 – 선운산(336m) – 삼거리 – 참당암 – 선운사로 내려오는 코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