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산도 ()

목차
관련 정보
인왕산도 / 강희언
인왕산도 / 강희언
회화
작품
조선 후기의 화가인 강희언(姜熙彦)이 그린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畫).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인 강희언(姜熙彦)이 그린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畫).
내용

종이 바탕에 주1. 세로 36.6㎝, 가로 53.7㎝. 개인 소장. 정선(鄭敾)의 화풍을 따른 이 작품은 강희언의 『산수 · 인물풍속화첩』에서 분리된 것이다. 그 화첩의 강희언 자서에 “삼청동 정선의 옆집에 살았는데 정선에게 그림을 배웠다.”고 쓰여 있었다 한다.

그림의 오른편 상단에는 ‘늦은 봄 도화동에 올라 인왕산을 바라보다(暮春登桃花洞望仁旺山)’라는 화제(畫題)가 있다. 이 그림은 화제처럼 자하문(紫霞門) 근처인 도화동에서 보고 느낀 인왕산의 인상과 감동을 사생한 것이다. 정선의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와 달리 북쪽에서 포착한 인왕산의 전경을 담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정선의 필법을 참조하였다. 하지만 인왕산의 특징적인 암벽보다 주2으로 처리한 산 계곡의 주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사실주의적인 사생미(寫生美)가 돋보인다. 계곡의 복숭아꽃이 만발한 마을과 산의 위용, 산의 전경과 바위 등 경물(景物)의 처리는 정확한 원근 개념을 바탕으로 하였다. 하늘의 대담하고 신선한 담청색(淡靑色) 선염은 현대적 감흥마저 일으키게 한다.

이 「인왕산도」는 조선 후기 정선의 영향을 받은 정선일파의 실경산수화 중에서도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이 작품의 좌측 상단에는 주4을 베낄 때는 항상 지도처럼 될까 봐 염려하는데 이 그림은 십분 주3이 넘치며, 또한 화가의 제법을 잃지 않았다(寫眞景者 每患似乎地圖 而此幅旣得十分逼眞 且不失畫家諸法).”라는 강세황(姜世晃)의 화평(畫評)이 적혀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2 -산수화(山水畵) 하(下)-』(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1982)
『우리나라의 옛그림』(이동주, 박영사, 1975)
『한국명화근오백년전도록(韓國名畵近五百年展圖錄) -한국회화(韓國繪畵)-』(국립중앙박물관, 1972)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조선후기(朝鮮後期)의 진경산수화연구(眞景山水畵硏究) -정선진경산수화풍(鄭敾眞景山水畵風)의 계승과 변모를 중심으로-」(이태호, 『한국미술사논문집』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주석
주1

동양화에서, 먹색을 기본으로 하고 그 외 여러 가지 채색을 보조적으로 써서 그린 그림. 우리말샘

주2

동양화에서, 수목이나 산수 따위를 그릴 때 가로로 찍는 작은 점. 중국 송나라 때의 미불(米芾) 부자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우리말샘

주3

실물과 아주 비슷한 느낌. 또는 사정이나 표현이 진실하여 거짓이 없는 느낌. 우리말샘

주4

진경, 眞景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태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