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경음의 권92 ( )

불교
문헌
문화재
1247년 이후의 후쇄본으로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에 소장된 불교경전.
정의
1247년 이후의 후쇄본으로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에 소장된 불교경전.
개설

『일체경음의』는 일종의 대장경 사전이다. 그 중 이 책은 1247년(고종 34) 이후의 후쇄본으로, 2012년 4월 6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구인사에 보관해오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혜림(慧琳, 737~820)이 807년(원화 2)에 편찬한 100권 가운데에 권92에 해당한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배경을 알 수 없으나, 1247년(고종 34) 재조대장경의 후쇄본으로 판단된다.

서지적 사항

사주단변으로, 반곽의 크기는 21.2×14.1㎝이다. 계선은 없고 반엽은 5~6행이며 14자의 소자(小字)이다. 어미는 없으며 판심이 첫장에는 없으나, 둘째 장부터 ‘일체경음의 권제구십이 제○장 동(一切經音義卷第九十二第○張洞)’이라 하였다. 비교적 두터운 저지(楮紙)를 사용하여 인출하였으며, 포배장(包背裝)으로 마무리하였다. 책은 33.5×18.7㎝의 크기이다.

표제는 ‘일체경음의’라 하였고, 권수제와 권말제의 표제는 같다. 표지가 일부 훼손되어 표제는 가필한 흔적이 있다.

이 책 권수에 종제육진제십(從第六盡第十) 음속고승전제육권(音續高僧傳第六卷), 권말에 속고승전제이권(續高僧傳第二卷) 종육진십(從六盡十)이라 부기하였다.

내용

이 책은 대장경 1260~1292에 해당한다. 『일체경음의』는 458종 2200권의 불교 경전에 나오는 어휘들을 경전별로 제시한 뒤 생소한 범어(梵語) 음차자의 음과 뜻을 번역해서 적고, 난해한 자구(字句)의 경우에는 뜻을 풀고 용례를 정리한 책이다. 같은 이름으로 현존하는 것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당나라 644년(태종 18)에 원응(元應), 혹은 현응(玄應)이 편찬한 25권으로 된 판본이고‚ 다른 하나는 807년(원화 2)에 혜림이 100권으로 편찬한 책이다. 전자를 『현응음의』로, 후자를 『혜림음의』로 구분해서 부른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간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간행처와 간행년을 알 수 없다. 그러나 1247년(고종 34)에 재조대장경의 후쇄본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알려진 사례가 거의 없어 매우 희귀하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강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