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문 ()

송애집
송애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가례도감낭청,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안(性安)
송애(松厓)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00년(정조 24)
사망 연도
1850년(철종 1)
본관
양천(陽川)
출생지
고령(高靈)
주요 관직
정언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가례도감낭청,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성안(性安), 호는 송애(松厓). 고령 출신. 최경표(崔擎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최광악(崔光岳)이고, 아버지는 공조참판 최상원(崔尙遠)이며, 어머니는 성주도씨(星州都氏)로 도상회(都尙會)의 딸이다. 큰아버지 최상준(崔尙峻)에게 입양되었으며, 정종로(鄭宗魯)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고, 다음해 저작(著作)·박사 등을 거쳐 1843년 성균관전적·예조좌랑·가례도감낭청(嘉禮都監郎廳)을 지냈다.

그 뒤 사간원정언으로 있을 때에는 과거의 부조리를 엄단할 것과 시험종목에 현실성이 없는 시(詩)·부(賦) 등을 없애고 경국지문(經國之文)을 위주로 할 것을 건의하였다.

또한, 문교진흥에 힘쓰자는 「흥학소(興學疏)」와 당시의 정책적인 시폐를 개혁하자는 「시폐소(時弊疏)」를 올렸다. 봉화현감으로 재직시에는 선정을 베풀어 많은 치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심성론(心性論)에 있어서는 심이 이미 생긴 뒤에 성이 마음에 갖추어지게 되므로 심이 성보다 앞선다는 심선성후설(心先性後說)을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송애집』 4권 2책이 있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애집(松厓集)』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재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