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

운천집
운천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예문관검열, 예천군수, 홍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도원(道源)
운천(雲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7년(명종 12)
사망 연도
1620년(광해군 12)
본관
의성(義城)
주요 관직
예문관검열|예천군수|홍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예문관검열, 예천군수, 홍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는 도원(道源), 는 운천(雲川). 김예범(金禮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생원 김진(金璡)이고, 아버지찰방 김수일(金守一)이며, 어머니는 사과(司果) 조효분(趙孝芬)의 이다. 김성일(金誠一)의 조카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0년(선조 2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정자(承文院權知正字)를 거쳐 예문관검열로 옮겼다가 천연두가 발병해 사직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리인 안동에서 의병을 일으켜 안동수성장(安東守城將)에 추대되었고, 이듬해 예문관검열 · 봉교(奉敎), 성균관전적(典籍) 등을 지냈다.

이어 정언(正言) · 헌납(獻納) · 부수찬(副修撰) · 지평(持平) 등을 거쳐 이조정랑에 올랐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제도도체찰사(諸道都體察使) 이원익(李元翼)종사관으로 수행해 많은 활약을 했으며, 교리에 재임 중 독운어사(督運御史)로 나가 군량미 조달에 많은 공을 세웠다.

그러나 조정에서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생겨 김용을 후원하던 영의정 유성룡(柳成龍)서인에 의해 축출되자, 탄핵을 받아 선산부사로 옮겨졌다. 이 때 금오서원(金烏書院)을 이건하고 향교를 중수하는 등 문교에 힘썼다. 이후 계속되는 대간의 탄핵을 받으며 중앙 관직과 지방 관직을 전전하였다.

일시 제용감정(濟用監正) · 세자필선(世子弼善) · 집의(執義) 등 중앙 관직에 머물다가 예천군수 · 상주목사 · 홍주목사 등의 지방 관직을 지내면서 오직 백성의 보호와 학문의 진흥에 힘썼다.

1609년 봉상시정(奉常寺正)으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해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그 공으로 통정대부에 올라 병조참의를 지냈다. 그 후 1616년 60세의 나이로 여주목사로 나갔다. 조정의 당쟁이 날로 심해지자 맏아들의 죽음을 구실로 향리로 돌아왔다가 4년 뒤에 죽었다.

안동 임호서원(臨湖書院) · 묵계서원(默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운천집』 · 『김용 호종일기』(보물, 1968년 지정) 등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