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월당집 ()

목차
관련 정보
제월당집
제월당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송규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송규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4책. 목활자본. 1819년(순조 19) 현손 기정(基鼎)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기정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사(辭) 1편, 사(詞) 1편, 시 98수, 권2·3에 시 358수, 권4∼6에 소(疏) 51편, 계(啓) 4편, 행장 3편, 묘지 3편, 묘지명 1편, 묘갈명 2편, 권7에 묘갈명 1편, 제문 12편, 서(序) 2편, 상량문 1편, 명(銘) 2편, 잡저 3편, 부록으로 행장·신도비명·미호서원체향제문(渼湖書院腏享祭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저자가 환로에 있을 때에 읊은 것이 많다. 「어초사(漁樵詞)」 1편은 강호 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소는 사직소가 대부분이다. 「사대사간겸진시폐소(辭大司諫兼陳時弊疏)」에서는 국세가 위기일발에 있음을 강조하고 그 원인으로 누적된 폐단을 들었다.

그는 폐단으로 부세(賦稅)가 무겁고 요역(徭役)이 빈번한 것, 보포(保布) 징수에 있어 이웃과 일가까지 침징(侵徵)을 당하는 것, 국가의 쓸데없는 비용이 무절제한 것, 이서(吏胥)들의 주구(誅求)가 끝이 없는 것 등 4개 조항을 들고 있다. 다음에 그는 그 실태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소상히 설명하였다.

특히, 대동목(大同木)으로 인한 잔민들의 피해상황과 왕실·귀족들의 절제 없는 사치 풍토에 대해서는 당시의 정경을 연상할 수 있을 만큼 상세히 묘사하였다. 그 밖에 민사에 관한 것이 많으며, 송준길(宋浚吉)을 숭현서원(崇賢書院)에 배향할 것을 청하는 것도 있다.

서(序)에는 향약의 서문, 잡저에는 풍수에 관한 「지수설(地水說)」·「조석설(潮汐說)」 등이 있다. 아들 상기(相琦)가 찬한 저자의 행장에는 당시 송시열(宋時烈)·송준길을 두고 조야(朝野)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던 당색의 갈등상이 적혀 있어, 당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