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계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변종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변종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01년 아들 석균(石均)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권동환(權東煥)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26수, 권3에 서(書) 3편, 잡저 1편, 서(序) 7편, 기 3편, 발 1편, 묘지명 1편, 고유문 1편, 애사 1편, 제문 12편, 유사 9편, 권4는 부록으로 유사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묘지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여우인논문(與友人論文)」은 작문하는 데 있어서 그 체재와 격이 한결같지 않아서 기고(奇高)·엄절(嚴截)·각실(慤實: 성실)·화채(華采)·평담(平淡)·온화(溫和) 등 여러 가지 체재가 있는데, 이는 처음부터 이러한 체재에 뜻을 두어서 되는 것이 아니며, 많은 서책을 읽어서 사리에 통달하게 되면 구하지 않아도 자연히 이루어진다는 내용이다.

발문 중 「훈몽천언발(訓蒙千言跋)」은 김세락(金世洛)이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을 모방하여 만들었는데,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할까 염려하여 주석을 부탁하므로 여기에 주석을 붙이고 그 전말을 기록한다는 내용이다. 그밖에 「담계기(澹溪記)」는 담계의 유래와 주위의 경관을 묘사하고, 곁들여서 자기의 포부를 은근히 나타낸 것이다.

집필자
박성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