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처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충청도암행어사, 선공감정, 군자감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지(誠之)
죽계(竹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7년(성종 8)
사망 연도
1517년(중종 12)
본관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주요 관직
응교(應敎)|충청도암행어사|선공감정(繕工監正)|군자감정(軍資監正)
정의
조선 전기에, 충청도암행어사, 선공감정, 군자감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성지(誠之), 호는 죽계(竹溪). 안구(安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좌참찬 안지귀(安知歸)이고, 아버지는 판서 안침(安琛)이다. 어머니는 증 좌찬성 이수철(李守哲)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시를 지었는데, 성종은 일찍이 안처성이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장한가(長恨歌)」를 착오 없이 암송하는 것을 시험하고 글재주에 놀랐을 정도였다.

1495년(연산군 1) 진사가 되고, 1504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가 되었다. 1506년(중종 1)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1507년 부교리(副校理), 1508년 지평(持平)을 거쳐 같은 해 시독관(侍讀官)으로 경연에 참석하였다.

이 때 왕실의 대비전에서 내수사(內需司)로 하여금 대자사(大慈寺)를 수리하도록 하였다. 안처성은 홍문관을 비롯한 시독관 이자화(李自華), 지사(知事) 신용개(申用漑) 등과 함께 몇 차례에 걸쳐 대자사 중수를 반대하는 소를 올려 백성들의 노역을 줄이고 이단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다.

1511년 장령(掌令)으로 대간에 재직할 때 공론(公論)을 저지해 억제한 일로 탄핵을 받아, 1512년 다시 응교(應敎)에 임명되었다. 1513년 전라도·충청도의 암행어사가 되었고, 이후 선공감정(繕工監正)·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다.

대간에서는 안처성과 안지(安智) 문제로 몇 차례 탄핵소를 올렸으나 왕이 윤허하지 않았다. 이 때 사신(史臣)이 안처성의 품성을 논하기를, “본래 정직하지 못해 남이 옳다는 것은 그르다 하고 남이 나쁘다는 것도 좋다고 하였다. 소박하고 우직해 꾸밈이 없이 나라 일에 마음을 다했으나 이극돈(李克墩) 같은 자의 죄를 벗겨주려고 노기까지 띠면서 동렬(同列)을 비방하였다.”고 하였다. 글씨를 잘 썼다고 한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청선고(淸選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용재집(容齋集)』
집필자
조병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