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세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연산군~중종 대 홍문관 부제학,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개지(介之)
매창(梅窓)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9년(성종 10)
사망 연도
1535년(중종 30)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형조판서
내용 요약

최세절은 조선 전기 연산군~중종 대 홍문관 부제학,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연산군 대 별시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무과에도 급제한 인물이다. 연산군 대에는 그가 지었던 시문이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중종반정 이후 파방(罷榜) 논의 속에서 현직 서용이 중지되기도 하였다. 다만, 홍문록에서는 제외되지 않았다. 1515년(중종 10) 이후 주요 관직에 다시 임명되었고, 관찰사와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키워드
정의
조선 전기 연산군~중종 대 홍문관 부제학,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최세절(崔世節)은 1479년(성종 10) 태어났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개지(介之), 호는 매창(梅窓)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안린(崔安獜), 할아버지는 최치운(崔致雲)이다. 아버지는 형조참판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이다. 어머니는 남과(南薖)의 딸이다. 부인은 신숙회(申叔檜)의 딸이다. 할아버지 최치운부터 아버지 최응현과 최세절까지 3대가 모두 참판 직을 지냈다.

주요 활동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에서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고, 무과도 치렀다. 1505년 예조정랑으로 있으면서 제문을 지었는데, 연산군주1가 오만하다며 주2을 지시한 사례가 확인된다. 다만, 얼마 후 연산군이 최세절이 지었던 시문(詩文)에 대해 자급을 더해 주도록 지시한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추국 등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505년(중종 1) 중종반정 이후 중종의 재위가 시작되자 1504년 연산군 대 시행되었던 별시 문과 시험의 급제를 취소하는 주3 논의가 시작되었다. 논의에서 파방이 결정되어 최세절은 현직 서용이 중지되었다. 최세절은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상황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1508년에는 대간들이 최세절 등을 홍문록(弘文錄) 명단에서 제외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중종은 허락하지 않았다.

1515년의 기록에 최세절이 평사(評事)로 지칭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1515년경 다시 관직에 주4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사헌부 집의, 동부승지, 우부승지, 장례원(掌隷院) 판결사(判決事), 우승지 ·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522년 좌승지로 있을 때 상산도정(常山都正) 이말손(李末孫)의 상언(上言)을 국왕에게 전달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가 되어 추국을 받았다. 하지만 관련자의 진술이 계속 엇갈리자 중종은 추국을 중지하도록 지시하였다. 1527년 홍문관(弘文館) 부제학(副提學)에 임명되었으나 이전에 있었던 논란 때문에 대간들의 주5 요구가 거듭되었다.

결국, 황해도관찰사에 제수되었지만 대간들이 계속 반대하자 체직되었다. 이후 형조참의를 거쳐 성절사(聖節使)로 중국 명나라에 파견되었다. 경상도관찰사, 형조참판, 전라도관찰사, 호조판서 ·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535년 57세에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주석
주1

문장에 나타난 말.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서 임금의 특명에 따라 중한 죄인을 신문하던 일.    우리말샘

주3

과거에 합격한 사람의 발표를 취소하던 일.    우리말샘

주4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우리말샘

주5

벼슬을 갈아 냄.    우리말샘

집필자
이규철(성신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