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필영 ()

서파문집 / 시
서파문집 / 시
유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영남 지방의 유림들과 함께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는 파리장서에 서명하였으며, 『서파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경달(景達)
서파(西坡)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1년(헌종 7)
사망 연도
1924년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정의
일제강점기 때, 영남 지방의 유림들과 함께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는 파리장서에 서명하였으며, 『서파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달(景達). 호는 서파(西坡). 안동에서 세거하였다. 아버지는 유정진(柳定鎭)이며, 어머니는 예천권씨(醴泉權氏)로 권교상(權敎相)의 딸이다.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이고, 권연하(權璉夏)·이만각(李晩慤)·김흥락(金興洛)·김도화(金道和) 등과 교유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집안에 전하여지는 학문의 전통을 이어받아 14, 15세의 나이로 사서삼경은 물론 제자서(諸子書)에까지도 박통하여 영남의 문맥을 이어받았다는 칭예를 받았다. 후일 유치명에게 수학하고 돌아와서 주서(朱書)를 탐독하고는 학문의 심오한 경지를 터득하였다.

또한, 고조부인 유정원(柳正源)으로부터 전하여져오는 역학(易學)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시경』에도 조예가 깊어 새로운 주석을 시도하였다. 스승 유치명의 『정재집(定齋集)』 원집과 속집을 편집하였다.

1919년 파리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리자 영남을 주축으로 한 한국 유림은 독립청원서를 보냈는데, 이때 파리장서에 서명하여 항일 의지를 확고히 밝혔다. 이 거사를 전후해서 남도에는 곽종석(郭鍾錫)이요, 북도에는 유필영이라 하여 남곽북유(南郭北柳)라고 불렸다.

유필영은 서파정사(西坡精舍)에 몰려드는 후진을 양성하는 방법으로 먼저 시(詩)로써 마음을 발양(發揚)시키고 다음에 예(禮)로써 율기(律己)하도록 하였다. 경술국치 이후에는 호정(戶庭)의 출입도 삼가하였다. 또한 기미년만세사건에 연루되어 성주에까지 연행되기도 하였다. 저서로 『서파문집(西坡文集)』 26권 13책이 있다.

참고문헌

『서파문집(西坡文集)』
『유학근백년』(금장태·고광직, 박영사,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