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동유고 ()

석동유고 / 선기옥형주해
석동유고 / 선기옥형주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문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문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5년 이문재의 8세손 이남의(李南儀)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정기(鄭琦)의 서문, 권말에 송교순(宋敎淳)과 9세손 이기석(李起石)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49수, 권2에 서(書) 23편, 권3∼7에 잡저 11편, 기(記) 1편, 제문 12편, 묘갈명 2편, 행장 1편, 유사(遺事) 3편, 권8에 부록으로 제문 6편, 행록(行錄)·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김집(金集)에게 보낸 「상신독재서(上愼獨齋書)」 3편이 있는데 주로 경전의 훈고(訓詁)와 예(禮)에 대한 문답이다. 황신구(黃信龜)에게 답한 5편의 글은 성리학에 대한 것과 ‘삼년내설찬상좌상우(三年內設饌尙左尙右)’·‘염락(鹽酪)’·‘다잔탁(茶盞托)’ 등 8종의 의례차목(疑禮箚目)에 대한 답변 및 학문하는 방법 등을 논술한 것이다.

잡저는 이 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율도량형해(律度量衡解)」는 도량형의 제도적인 면을 논한 것이며, 「전제(田制)」에서는 하공법(夏貢法)·은조법(殷助法)·주철법(周徹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어 정전설(井田說)을 중심으로 전제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였다. 「기삼백설해(朞三百說解)」에서는 기법(朞法)·세법(歲法)·연법(年法)·월법(月法)·일법(日法)·시법(時法)·각법(刻法)·기영(氣盈)·삭허(朔虛) 등으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세여법(歲餘法)」·「소자장윤현윤설(邵子藏閏顯閏說)」도 역시 역수(曆數)에 관한 설명이다.

「선기옥형주해(璇璣玉衡註解)」는 먼저 선기옥형에 대해 총론적으로 설명하고, 이어 천체일도월도주위지이(天體日道月道周圍之異)·황도적도월행구도(黃道赤道月行九道)·천여칠정각유지속(天與七政各有遲速)·월광영휴(月光盈虧)·중성(中星)·세차(歲次)·역서시각변(曆書時刻辨)·의성주고제시각정식(依成周古制時刻定式)·대명대통력(大明大統曆)·지중(地中)·지유사유(地有四游)·조석수(潮汐水)·여양공안도해조도(余襄公安道海潮圖)·조력규(造曆規) 등의 편목을 세워 자세히 설명하였다. 그밖에 「만기(漫記)」·「수차(隨箚)」 등은 성리설과 태극설 및 경전 등에 대한 논술로 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