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민요 ()

국악
개념
국가유산
전라도에 전승되는 민요.
이칭
이칭
남도잡가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남도잡가(南道雜歌)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무형유산(2001년 09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남도민요는 전라도에 전승되는 민요이다. 남도민요의 음악 어법은 육자배기토리라 하는데, 그 주요 구성음은 ‘미, 라, 도^시’이다. 미는 굵게 떨어주는 ‘떠는 목’이고 라는 평평하게 내는 ‘평으로 내는 목’이고, ‘도^시'는 도에서 시로 급격하게 ‘꺾는 목’이다. 이외에 경기민요의 음악 어법인 '솔, 라, 도, 레, 미'의 음계에 도가 중심음이고 솔이 떠는 목인 남도경토리로 된 민요도 있다. 남도민요는 진양조장단부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세마치, 굿거리 등의 다양한 장단에 얹어 부른다.

정의
전라도에 전승되는 민요.
전승 과정

남도민요는 주로 전라도에 전승되는 민요이지만, 넓게는 충청도, 전라도, 전라도의 삼남지방에 전승되는 민요를 두루 가리키기도 한다. 남도민요는 주로 민중들이 생활에서 부르는 향토 민요(鄕土民謠)와 전문 음악인들이 부르는 통속민요로 구분한다. 남도민요는 논농사를 지을 때 부르는 향토 민요가 많기에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외에 밭농사와 어업 등의 각종 노동을 할 때 민요를 부른다. 노동요가 민간에 퍼져 모심기소리인 상사소리는 「농부가」 등의 통속민요로 발전하고, 「농부가」는 판소리 『춘향가』에 삽입가요(揷入歌謠)로 부른다.

구성 및 형식

남도민요는 노랫말이 여러 연으로 된 유절 형식(有節形式)에 메기고 받는 가창 방식으로 된 노래가 많다. 메기는 소리는 한 명의 앞소리꾼이 다양한 노랫말을 다양한 선율에 얹어 부르고, 메기는 소리는 여러 명의 뒷소리꾼이 대개 같은 노랫말을 하나의 선율에 얹어 부른다. 이로 인해 AB, A’B, A”B…의 형식으로 된 곡이 많다. 이외에 노랫말이 연의 구분이 없이 통절 형식(通節形式)으로 된 노래도 존재한다.

남도민요는 한배에 따라 느린 장단의 노래와 빠른 장단의 노래가 한 틀을 이루는 노래가 많다. 중모리장단으로 부르는 「농부가」중중모리장단으로 부르는 「자진농부가」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외에 「 강강술래」는 진양조장단으로 부르는 「긴강강술래」로 시작하여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으로 점차 빨라지는 「중강강술래」와 「자진강강술래」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남도민요의 음악 어법은 「육자배기」에서 나타나는데, 이를 육자배기토리라 하는데, 그 주요 구성음은 ‘미, 라, 도시’이다. 미는 굵게 떨어주는 ‘떠는 목’이고 라는 평평하게 내는 ‘평으로 내는 목’이고, ‘도시’는 도에서 시로 급격하게 ‘꺾는 목’이다. 이외에 경기민요의 음악 어법인 ‘솔, 라, 도, 레, 미’의 음계에 도가 중심음이고 솔이 떠는 목인 남도경토리로 된 민요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성주풀이」를 들 수 있다.

남도민요는 느린 3소박 6박의 진양조장단부터 2소박 12박의 중모리장단, 보통 빠르기의 3소박 4박의 중중모리장단와 굿거리장단, 약간 빠른 3소박 4박의 자진모리장단, 3소박 3박의 세마치장단 등 다양한 장단에 얹어 부른다. 이들 장단은 판소리와 산조에서도 연주된다. 이로 미루어 판소리와 산조가 전라도 음악 어법에 근거해 발달한 음악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내용

남도민요 중 향토 민요는 논농사를 지을 때 부르는 민요가 많은데,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김매기소리 등 다양한 민요가 있다. 이외에 향토 민요가 음악적으로 세련되게 다듬어진 「진도아리랑」, 「강강술래」 등이 있다. 남도민요 중 통속민요는 남도잡가와 거의 같은 개념인데,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남원산성」, 「까투리타령」, 「성주풀이」 등이 있다.

남도민요에는 근현대에 만들어진 신민요도 많다. 「금강산타령」, 「꽃타령」, 「날 오라네」, 「님 그린 회포」, 「님이 그리워」, 「박꽃 핀 내 고향」, 「복숭아꽃」, 「내 고향의 봄」, 「널뛰기」, 「단오놀이」, 「달맞이」, 「동백타령」, 「동해 바다」, 「들국화」, 「봄노래」, 「사철가」, 「상시천리몽」, 「신뱃노래」, 「애수의 가을밤」, 「큰애기 순정」, 「함양 양잠가」, 「통영 개타령」 등이다. 이외에 향토민요가 판소리의 일부가 된 노래도 많은데, 『춘향가』 중 「농부가」와 「자진농부가」, 『심청가』「뱃노래」「방아타령」 등을 들 수 있다.

관련 민속

남도민요는 논농사의 각종 절차에서 부르는 노래가 많다. 모를 찌을 때 부르는 모찌기소리,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모심기소리, 초벌 · 두벌 · 세벌을 할 때 부르는 김매기소리 등이 전승된다. 전라도의 모심기소리로는 「상사소리」가 대표적이다.

의의 및 평가

남도민요는 전라도에 전승되는 민요로서, 민중들이 생활에서 부르는 향토 민요, 전문음악가들의 노래인 통속민요, 근현대에 만들어진 신민요 등 다양한 노래가 존재한다. 전라도는 판소리의 본고장이기에 판소리에서 부르는 삽입가요가 많다. 이런 점에서 남도민요는 전라도인들의 음악성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혜정, 『(우리 몸에 새겨진 삶의 노래) 강강술래』(민속원, 2009)
김영운, 『국악개론』(음악세계, 2015)
홍성덕, 『화려한 육자배기: 육자배기의 원류와 멋을 찾아서』(그래서음악, 2020)

논문

「남도민요, 삶을 노래하다!」(『국립남도국악원총서』 22, 국립남도국악원, 202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