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 ()

해학 이기 선생 생가
해학 이기 선생 생가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대한자강회를 조직하고, 언론을 통해 국권수호와 제도개혁에 힘쓴 항일운동가. 애국계몽운동가.
이칭
백증(伯曾)
해학(海鶴), 재곡(梓谷)
이칭
질재(質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8년(헌종 14)
사망 연도
1909년(순종 2)
본관
고성(固城)
출생지
전라북도 김제
내용 요약

이기는 대한제국기 대한자강회를 조직하고, 언론을 통해 국권수호와 제도개혁에 힘쓴 애국계몽운동가이다. 1848년(헌종 14)에 태어나 1909년(순종 2)에 사망했다. 독학으로 학문을 성취하였으며 성리학의 한계를 인식하고 실학사상을 기초로 신학문을 수용하였다. 일제가 강요하는 황무지개척권의 부당성과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옛 영토인 서북 간도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06년경에는 장지연·윤효정 등과 함께 대한자강회를 조직하여 논설 등을 통해 국민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저서로는 『해학유서』가 있다.

정의
대한제국기 대한자강회를 조직하고, 언론을 통해 국권수호와 제도개혁에 힘쓴 항일운동가. 애국계몽운동가.
개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백증(伯曾), 호는 해학(海鶴) · 질재(質齋) · 재곡(梓谷). 전라북도 김제(金堤, 萬頃)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국운이 쇠퇴해 가는 속에서 적극적인 경세구국(經世救國)의 뜻을 세워, 1894년(고종 31)에는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에게, “군중(軍衆)을 이끌고 서울로 쳐들어가 국왕 주변의 간사한 무리들을 제거하고 왕을 받들어 국헌(國憲)을 새롭게 하자.”고 제의하였다.

전봉준은 이에 찬동, 남원김개남(金開男)에게도 동의를 얻도록 이기에게 종용하였다. 그러나 김개남이 면담조차 거절하고 도리어 이기를 해하려 하자 구례로 돌아왔다. 여기서 동학군이 파괴행동으로 나오자 군민을 규합, 이를 방어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을 목격, 체험한 뒤 농민생활의 안정과 국권을 회복하는 데에는 토지개혁이 최급선무라고 생각하였다. 1895년 중앙에 진출, 극도로 문란해진 주1를 개혁할 것을 주장해 「전제망언(田制妄言)」을 지어 탁지부대신 어윤중(魚允中)에게 건의하였다.

1896년에는 경상좌도관찰사 이남규(李南珪)의 막료로 초빙되어 모병과 조련(調鍊) 등 지방의 치안유지에 노력, 큰 성과를 거두었다. 1899년년 양지아문(量地衙門)이 설치되자 양지위원에 임명되었다. 우선 아산지방에서 관계 시안(試案)을 실시, 주2주3을 바로잡기에 힘썼다. 1900년 구국(救國)에 대한 방책을 중추원에 건의하는 한편, 국민들에게는 자강책(自强策)을 제창, 분기할 것을 호소하였다.

1902년에는 한반도를 둘러싼 · 의 각축으로 국운이 더욱 위태롭게 되어가는 상황인데도 한가하게 산림에서 독서 · 시담(詩談)이나 하는 황현(黃玹)에게 일갈하였다. 자신은 비록 주4가 될지라도 부모 처자가 포로가 됨을 막는 데에는 아무 도움도 되지 못할 것이라면서, 우리가 취해야 하는 민족적 대의를 중국 고대의 사례를 들어 천명하였다.

1904년 고종에게 상소해 시국에 관한 소신을 개진하였다. 특히 4차에 걸친 「논일인소구진황지소(論日人所求陳荒地疏)」를 통해 일제의 이른바 황무지개척권 강요의 부당성과 그에 대한 대책을 진언하였다. 또한 홍필주(洪弼周) · 이범창(李範昌) 등 수백인의 연합상소문으로써 일제에 동조한 이하영(李夏榮) · 현영운(玄映運) 등의 매국무리를 처벌하도록 주장하였다.

같은 해에 올린 「인근시상주봉서(因近侍上奏封書)」에서는 러일전쟁의 종결 전에 우리의 옛 영토인 서북 간도를 회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각부의 당론자들인 어윤중 · 신기선(申箕善) · 조병직(趙秉稷) · 김가진(金嘉鎭) 등에게 제도개혁, 특히 일제의 침략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한 글을 보내기도 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끝나고 강화회의가 미국에서 열렸다. 이 강화회의에서 틀림없이 한국에 대한 모종의 결정이 내려질 것을 확신하고, 동지 나인영(羅寅永, 喆) · 오기호(吳基鎬, 赫) · 윤주찬(尹柱瓚) 등과 함께 강화회의에 대표를 파견할 것을 외부대신 이하영에게 건의했으나 듣지 않았다. 이에 직접 미국에 건너가 그 회의에 참관하려고 했지만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차선책으로 일본에서 활동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해 9월 나인영 · 오기호 등과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 그들은 일본천황과 일본정계 요인들에게 서신을 보냈다. 이 서신에서 세계와 동양의 형세에 대해 논하고, 일본은 마땅히 약속을 지켜 한국의 독립을 존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병탄의 침략책만을 논한다고 힐책하였다. 특히, 한국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게 일본의 배약행위와 러일전쟁 중에 체결된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2차에 걸쳐 통박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귀국했고, 뒤이어 어머니의 상을 당해 귀향하였다.

그러나 위급한 시기에 상중(喪中)이라 하여 향리에 칩거만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복을 벗어버렸다는 비난도 무릅쓰고 다시 상경하였다. 한성사범학교(漢城師範學校) 교관으로 후진 양성에 진력하는 한편, 언론을 통해 국권수호와 제도개혁에 관한 주장을 펼쳤다.

1906년경에는 장지연(張志淵) · 윤효정(尹孝定) 등과 함께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를 조직하였다. 그 회보와 『호남학보(湖南學報)』 및 『조양보(朝陽報)』 · 『야뢰보(夜雷報)』 등에 서문과 논설을 통해 국민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관립한성사범학교 교관에 임용되었는데, 박제순이완용이 해면시켰다.

을사5조약이 체결된 뒤에는 나인영 · 오기호 · 윤주찬 · 김인식(金寅植) 등과 함께 나라를 바로잡으려면 먼저 내부의 적부터 제거해야 한다며 을사오적을 주살(誅殺)할 것을 모의하였다. 이에 동지를 규합해 자신회(自新會)를 조직하였다. 그 취지서에서 거사의 대의와 단결의 필요성을 천명하고, 성사 후의 주5까지 작성하였다.

1907년 2월 거사에 착수해 권중현(權重顯)을 저격했으나 실패하고, 박제순(朴齊純) 등에 대한 살해 계획도 실패하였다. 이렇게 되자 거사 사실을 스스로 밝히면서 매국노를 제거하려 한 그들 행위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그 해 겨울에 풀려났다. 이후 사망할 때까지 계속해 항일구국운동을 벌였다.

학문활동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문재(文才)가 비범해 거의 독학으로 학문을 성취하였다.

초기에는 이정직(李定稷) · 최보열(崔輔烈) · 황현(黃玹) 등 주로 도내의 명사들과, 중앙진출 후에는 남궁억(南宮檍) · 이건창(李建昌) · 김택영(金澤榮) 등과 교유하였다.

이기의 학문은 주6에서 시작하기는 했지만 성리학을 버리고 실사구시(實事求是)이용후생(利用厚生)을 주로 하는 실학, 특히 유형원(柳馨遠)정약용(丁若鏞)주7한 조선후기 실학에 사상적 연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기의 열렬한 애국정신과 그에 따른 제도개혁안, 그리고 이기가 제시한 구체적이고 진취적인 신교육방법 등은 모두 이기의 실학적인 진취 사상에서 우러나왔다.

자신의 학문이 현시세에 부합될 수 없는 무용한 것이었다고 반성하면서, 재래 주8가 옛날 문물을 숭상하고 현재를 천시하는 주9을 비판하고, 주10 · 진취(進取)에 사상적 초점을 두었다. 시대가 진전되는 것에 따라 알맞은 생활을 해야 하고, 주11도 새로이 대체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주12에 있어서도 민권주의와 법치사상을 강조, 주13를 찬양하였다. 평등국을 내세워 국내에서 인민평등이 가능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에서도 우리를 평등하게 대우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국사관(國史觀)에 있어서도 재래 주14들의 사대주의적 사관을 탈피하였다. 자아적인 역사의 주류 경향을 사실(史實)을 통해 정당하게 파악하려고 하였다. 기자주봉설(箕子周封說)의 부정, 이성계(李成桂)의 사대정책의 경위, 임란구원(壬亂救援) 및 주15외교(對淸外交)에서 파생된 주16의 의의 등을 논해 우리 역사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자주독립정신의 주류를 파악하였다.

또한, 자신이 한학자이면서도 주19의 사용을 적극 주장해 한문 관용(漢文慣用)의 폐단을 타파할 것을 역설하였다. 이는 국문 사용이 국민생활에 편익이 되는 시대적 추세를긍정한 것으로서, 여기에도 자주독립 정신과 지식보급의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단지 문자를 배우는 것은 학문이 아니며, 학교에서 쉬운 국문으로 지식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해, 국문을 통한 교육을 주장하였다. 교육목표를 국권회복에 두었던 것은 당시가 일제의 침략에 대비해야 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나온 이기의 교육관이었다.

국운이 위급해진 원인이 국민교육의 결여와 그에 따른 무지에 있다고 모아 자강(自强)은 새로운 학문, 새로운 지식을 교육 시키는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하였다. 교육을 가정교육 · 학교교육 · 사회교육의 3종으로 구분하였는데 특히, 신지식 · 주17와 내외소식을 소개하는 계몽적 역활로서 신문 · 잡지가 주가 되는 사회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제도개혁에 있어서는 전제개혁에 가장 중점을 두어 두승제(두승制) · 척량(尺量) · 전세(田稅) 및 수리시책(水利施策) 등을 연구해서, 주20 · 세제(稅制)의 합리화를 통해 국민생활을 안정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당시 상황에서 긴급하게 개선을 요하는 여덟 가지를 추려 각각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국제(國制) · 관제(官制) · 전선제(銓選制) · 지방제 · 전제(田制) · 호역제(戶役制) · 잡세제(雜稅制) · 학제(學制)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진취적 사상과 계몽적 역할, 그리고 개혁 주장은, 열강의 제국주의적 참략의 위기를 겪으면서 조선 후기 실학의 사회개혁이론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신 학문을 수용한 데서 가능한 일종의 주18론(變法自强論)이라고 하겠다. 저서로는 『해학유서(海鶴遺書)』가 있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매천야록(梅泉野錄)』
『창강고(滄江稿)』(김택영)
『한국통사(韓國痛史)』
『담원문록(擔園文錄)』(정인보)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이해학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김상기, 『이선근화갑기념논총』, 1965)
주석
주1

논밭에 관한 제도. 우리말샘

주2

땅의 넓이. 우리말샘

주3

세무에 관한 행정. 우리말샘

주4

예전에,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초야에 묻혀 살던 선비. 우리말샘

주5

자기의 거사 사실을 스스로 밝힌 문서장

주6

한문을 연구하는 학문. 우리말샘

주7

선인(先人)이 말한 바를 근본으로 하여 서술하고 밝힘. 우리말샘

주8

공자의 학설과 학풍 따위를 신봉하고 연구하는 학자나 학파. 우리말샘

주9

나쁜 관습. 우리말샘

주10

시급한 일. 우리말샘

주11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추어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적거나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우리말샘

주12

국가의 통치 형태. 군주제, 귀족제, 민주제, 공화제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3

공화 정치를 하는 정치 제도. 간접 민주제, 직접 민주제, 귀족제, 과두 정치 따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간접 민주제만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4

유학을 깊이 연구하여 높은 경지에 오른 사람. 우리말샘

주15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6

명나라 존숭

주17

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우리말샘

주18

중국 청나라 말기에 캉유웨이(康有爲), 량치차오(梁啓超) 등의 혁신파가 내세웠던 개혁 운동 표어. 시대에 맞지 않는 법과 제도를 고쳐 스스로 강하게 한다는 뜻으로, 정치 체제와 교육 제도를 통한 부국강병을 목표로 두었다. 우리말샘

주19

나라의 문자. 우리말샘

주20

땅을 측량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