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공민왕 때 도첨의시중을 지낸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71년(공민왕 20)
본관
양성(陽城)
주요 관직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춘부는 고려 후기 공민왕 때 도첨의시중을 역임한 문신이다. 충정왕 때 우대언·밀직부사 등을 지내고, 공민왕 때에는 지추밀원사·판추밀원사·도첨의찬성사 등을 거쳐, 1368년(공민왕 17) 수상직인 도첨의시중에 올랐다. 두 차례에 걸쳐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홍건적 침입 때는 안동으로 피란하는 왕을 호종하고 군사를 징발하여 전투를 지휘하였다. 신돈 집권기에 그 지지 세력으로 활동하다가 신돈 실각과 함께 처형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공민왕 때 도첨의시중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춘부(李春富)의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할아버지는 양성군(陽城君) 이천(李梴)이며, 할머니는 해평윤씨(海平尹氏) 윤만비(尹萬庇)의 딸이다. 아버지 이나해(李那海)충숙왕 대에 첨의평리(僉議平理)를 역임하였고, 어머니는 경주김씨 계림군(鷄林君) 김자흥(金子興)의 딸이다. 이춘부는 공암허씨 허선(許僐)의 딸과 혼인하여 5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이옥(李沃)은 조선 태종 대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냈으며, 차남 이윤(李贇)은 진주목사로 왜구와 전투 중 사망하였다. 3남은 이예(李裔), 4남이 이한(李澣), 5남이 이징(李澂)이다. 딸은 이색(李穡)의 아들인 이종학(李鍾學)과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이춘부는 1349년( 충정왕 1) 윤 7월 인사에서 삼사좌윤(三司左尹)에서 우대언(右代言)으로 승진하고, 이듬해 5월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전보되었다. 공민왕 5년 관제 개편에 따라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다가 1358년(공민왕 7) 2월 인사에서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승진하고, 이듬해 8월 인사에서는 추밀원의 수장인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가 되었다.

이춘부는 왜구(倭寇)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방어하는 데에 힘써 공을 세웠다. 1358년(공민왕 7) 5월에 왜적(倭賊)이 착량(窄梁)을 침탈하자 방어사(防禦使)와 서강병마사(西江兵馬使)를 겸하여 왜구를 토벌하였으며, 1360년 5월 왜구 침입으로 개경에 계엄령을 내려야 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해지자 이춘부는 동강도병마사(東江都兵馬使)가 되어 군사를 징발하고 왜구 토벌을 지휘하였다.

1359년(공민왕 8) 12월 홍건적의 1차 침입 때에는 서경윤(西京尹)으로 위촉되어 평양에 주둔하면서 침입에 대비하였다. 1361년 10월, 홍건적의 2차 침입으로 왕이 안동으로 몽진(蒙塵)할 때, 이춘부는 시중 홍언박(洪彦博) 등과 함께 왕을 호종(扈從)하는 한편, 전라도 도순문사 겸 병마사(全羅道都巡問兼兵馬使)가 되어 전시 상황에 대비하였다. 홍건적을 격퇴하여 개경을 수복(收復)하고 김용(金鏞)흥왕사(興王寺) 난을 진압한 후, 1363년(공민왕 12) 이춘부는 군사들을 소집해 왕을 보좌한 공로〔僉兵輔佐功〕로 1등공신에 봉해져 수성보절공신(輸誠保節功臣)의 칭호를 받았다.

신돈(辛旽)이 집권하면서 이춘부는 지지 세력으로 활동하여 그 지위를 높였다. 1365년 5월 인사에서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로 발탁된 이춘부는 신돈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린 대간(臺諫) 정추(鄭樞)와 이존오(李存吾) 등을 국문하는 일을 맡는가 하면, 전민추정도감(田民推整都監)이 설치되어 개혁을 추진할 때 권세가의 전민 탈점을 조사하고 환수 조치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1368년(공민왕 17) 8월, 이춘부는 마침내 수상인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직에 올랐고, 이해 10월 김정(金精) 등이 신돈을 주살하려는 모의를 국왕에게 보고하여 저지하게 하는 공을 세워 충근절의동덕찬화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功臣)의 칭호를 하사받았다. 『고려사』 찬자(撰者)는 이춘부의 이 같은 출세가 “신돈에게 아첨하고 왕의 비위를 힘써 맞춘 덕”이라고 비판하였다.

1371년(공민왕 20) 7월 신돈의 실각과 함께 이춘부와 그의 가족도 몰락하였다. 이해 7월 11일 신돈이 유배지 수원(水原)에서 주살된 뒤, 7월 27일에 이춘부가 처형되었고, 그의 동생 이원부(李元富)와 이광부(李光富)도 신돈의 일당이라는 죄목으로 유배되었다. 이춘부의 아들 이옥(李沃) · 이윤(李贇) · 이예(李裔) · 이한(李澣) · 이징(李澂) 등도 모두 관노로 적몰되어 각 고을에 나누어 예속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씨족원류(氏族源流)』
『양성이씨세보(陽城李氏世譜)』

단행본

김창현, 『신돈과 그의 시대』(푸른역사, 2006)
김광철, 『고려후기 세족층연구』(동아대학교 출판부, 1991)

논문

신은제, 「신돈 집권기 전민추정도감의 설치와 그 성격」(『역사와 경계』 95, 부산경남사학회, 2015)
박종기, 「고려말 왜구와 지방사회」(『한국중세사연구』 24, 한국중세사학회, 2008)
이정란, 「신돈 당여 가문의 조상 감추기와 포폄론」(『한국사학보』 27, 고려사학회, 2007)
주석환, 「신돈의 집권과 실각」(『사총』 30,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86)
김호종, 「공민왕의 안동몽진에 관한 일연구」(『안동문화』 13,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