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산문집 ()

낭산선생속집
낭산선생속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원집은 1937년 이후의 아들 이호대(李好大) 등이 편집·간행했고, 권말에 문인 한덕련(韓德鍊)의 발문이 있다. 속집은 원집을 간행할 때 일정(日政)의 검열에 저촉되어 삭제되었던 것을 광복이 되자 수습하여 1955년 이호대 등이 다시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창숙(金昌淑)의 서문, 권말에 문인 조적(曺逷)·곽창승(郭昌承) 등의 후지(後識)가 실려 있다.

서지적 사항

원집 23권 10책, 목록 2권, 속집 4권 1책, 합 29권 11책. 신연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원집은 권1∼4에 사(詞)·부(賦)·가(歌)·시·악부(樂府), 권5∼14에 서(書), 권15∼17에 잡저, 권18에 서(序), 권19에 기, 권20에 발·명·잠·찬·혼계(昏啓), 권21에 상량문·축문·제문·애사, 권22에 비(碑)·묘지명·묘표·묘갈명, 권23에 행장·행록·유사·전(傳)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속집은 권1에 시·서(書), 권2에 설·서(序)·기·발·서후(書後)·명·상량문·송(頌)·제문·묘갈명·행장·사장(事狀), 권3에 별록으로 원집에 부분적으로 삭제시켰던 제편(諸篇), 권4에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지명·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동해비장자가(東海碑障子歌)」는 강원도 삼척에 있는 허목(許穆)이 지은 동해척주비문의 탁본을 구해 벽에 걸어놓고 이 비문을 모방하여 가사체로 지은 작품으로 명문이다. 악부의 「설야기원인(雪夜寄遠人)」·「하경(夏景)」·「회인(懷人)」·「덕봉상운(德峯祥雲)」·「용연추월(龍淵秋月)」·「구봉조양(九鳳朝陽)」·「증봉자하(甑峯紫霞)」·「법암모종(法庵暮鍾)」·「월봉반조(月峯返照)」·「신평토약(新坪土籥)」·「금강귀범(錦江歸帆)」 등은 자연의 풍경을 잘 묘사한 작품들이다.

잡저 중에서 「무하문답(無何問答)」 상은 형상(形狀)·광색영(光色影)·성음(聲音)·취미(臭味)·기(氣)·이(理)·통설이기(統說理氣) 등을 제목으로 자신의 견해를 문답식으로 피력한 논설이다. 「무하문답」 하는 위인지리(爲人之理)·인지리(仁之理)·의지리(義之理)·예지리(禮之理)·지지리(智之理)·신지리(信之理)·치지지리(致知之理)·치심지리(治心之理)·처사지리(處事之理)·수신지리(修身之理)·접물지리(接物之理)·위정지리(爲政之理) 등의 각 제목마다 자신의 견해를 상세히 피력한 장편의 문답식 논설이다.

「한서율력지해(漢書律歷志解)」에서는 『한서』에 있는 「율력지」의 난해한 부분만을 뽑아 저자 나름대로 주석을 가해 숫자를 풀이했고, 「이동기이도설(理同氣異圖說)」에서는 ‘이(理)는 같고 기(氣)는 다르다.’라는 논리를 전도(前圖)·후도(後圖) 두 도식으로 그려 이해하기 쉽게 하고, 각 도식마다 상세히 해설하였다. 「양관도설(兩關圖說)」에서는 몽각관도(夢覺關圖)와 인귀관도(人鬼關圖)를 그리고 명덕(明德)에 관해 일목요연하게 해설했으며, 「음양승강도설(陰陽升降圖說)」에서는 음양이 반복되는 이치를 도식으로 그려 설명하였다.

속집의 「유거감회이십편(幽居感懷二十篇)」은 경술국치 당시의 이모저모와 순국열사들의 충절을 20편에 걸쳐 시로 서술한 것이다. 서(書)는 스승인 곽종석(郭鍾錫)과 교우인 김성철(金聖徹)·이기철(李起轍)·김황(金榥) 등과 주고받은 서한으로, 모두 우국충정을 논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