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락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5책. 석인본. 1938년 현손 무원(戊源)과 5세손 운성(雲成)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아들 재한(在暵)의 『누재유고(陋齋遺稿)』와 증손 해규(海逵)의 『과회당유고(寡悔堂遺稿)』가 합편되어 있다. 권두에 송의섭(宋毅燮)의 서문, 권말에 무원과 족손(族孫) 운학(雲鶴)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621수, 서(序) 5편, 기(記) 6편, 권3에 제문 4편, 행장 6편, 논(論) 4편, 설(說) 4편, 상량문 1편, 권4에 문답 6편, 변(辨) 2편, 소(疏) 2편, 서(書) 3편, 권5에 잡저 2편 및 선조유묵(先祖遺墨) 등이 수록되어 있다.

「어염설(魚鹽說)」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고기와 소금 생산이 편리해 값이 싸서 민생에 많은 도움을 주었는데, 턱없이 비싸게 되어 백성의 생활이 어려워진 원인을 규명한 글이다. 그는 그 원인이 균역법(均役法)의 시행으로 국가에서 어염세(魚鹽稅)를 받게 되자, 관리들이 탐학해 자신들의 사리(私利)만 추구하고 백성을 위한 행정을 펴지 않은 까닭이라고 비판하고, 당시 지방관의 실정(失政)을 낱낱이 지적, 그 대책을 제시하였다.

「주객문답(主客問答)」은 하늘·원기(元氣)·천지도수(天地度數)·지리(地理)·택장(擇葬) 등 여러 가지 조목에 대해 문답식으로 설명한 글로, 저자의 박식함을 잘 보여주는 저술이다.

잡저의 「무비팔책(武備八策)」에서는 서울의 방어와 과거 시험장의 경비, 각 읍·군병의 점검, 무과의 시험 선발 등 군사 행정에 관한 일을 8조목으로 나누어 그 대책과 시행 방법을 논술하였다. 「당금십이책(當今十二策)」에서는 언론의 보장과 충직한 인재의 등용 등 당면한 정치 과제를 12개 조목으로 나누어 개진하였다.

「과규연혁(科揆沿革)」은 천지가 개벽한 후부터의 원회운세(元會運世)를 서술하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과거제도 및 그에 대한 여러 학자·관원들의 건의 내용, 역대 인물들의 등과 연혁을 밝힌 것으로, 과거제도의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집필자
허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