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득강전 ()

어득강전
어득강전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의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한글 필사본. 1책(15장). 권말에 “병술정월념이일필교신셔언”이라는 필사기로 보아, 고종 23년(1886) 음력 정월 22일에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필교신셔언(畢校新書諺)’은 그 무렵에 창작된 한글 소설을 교정 완료했다는 뜻인 듯하다.

본문 중에 연문(衍文: 잘못하여 글 속에 낀 쓸 데 없는 글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저본(底本)이 별도로 있었던 것 같다. 이 소설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어득강(魚得江)을 주인공으로, 해학적인 일화를 새로 꾸며낸 내용이다. 실제로 어득강은 해학을 잘해 『어우야담(於于野譚)』에 그가 중종과 해학한 일이 전할 정도다.

이 소설은 세종조를 시대 배경으로 하며, 어득강이 관서 삼화부사로 있을 때 호승(好勝)의 습벽이 있는 방백(方伯: 관찰사)을 골려 준 이야기를 주 사건으로 꾸며내었다. 그 가운데 방백이 거짓으로 죽은 기생과 강루에서 만나는 이야기는 「홍장설화(紅粧說話)」를 번안한 것이다.

줄거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어득강의 재주를 시기하는 방백은 비장 둘을 시켜 어득강을 속이려 했으나, 젊은 비장은 술이 취해 중처럼 머리가 깎여 돌아오고, 늙은 비장은 꼭두서니 끓인 물에 세수해 흰 수염이 붉어서 돌아온다. 다시 아들을 보내나, 아들은 복어 독을 잘못 먹은 줄 알고 어득강이 주는 똥물을 해독약으로 속아 마시고는 돌아온다.

이에 방백은 직접 순찰을 나가 허물을 잡으려 한다. 어득강은 기생 홍랑을 통인의 누이로 꾸며 방백과 운우지정(雲雨之情)을 나누게 한 뒤 방백에게 상복을 입게 만든다.

그리고는 통인의 누이가 죽은 것으로 꾸민다. 그 귀신이 방백에게 나타나 영월정에서 만나기를 약조하게 하고, 홍랑은 영월정에서 만난 방백에게 똥물로 만든 선약을 먹게 한다. 또, 통인은 죽은 이의 소원이라고 방백에게 홍랑의 거짓 묘에 제를 올리게 한다.

방백이 이 사실들을 들어 상감께 상소하니, 상감은 어사를 보내 어득강의 죄상을 살피게 한다. 그러나 어사조차도 그에게 속아, 통정한 여인의 적삼만 문서함에 담아 돌아온다.

노한 상감이 어득강을 잡아 올리라 하는데, 어득강은 어전에서도 재담을 한다. 이에 상감은 노기를 풀고 그 재주를 칭송해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제수하고, 또 승품(陞品: 종삼품 이상의 품계에 오름)하게 한다.

의의와 평가

이처럼 이 소설은 역사적 사실과는 관련이 없는 재담을 엮어 놓았지만,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우선 방백과 고을 수령과의 대립을 소재로 한 것은 사실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방백이 통인의 누이는 사족 부녀가 아니니 수절할 것이 무엇 있느냐고 한다든가, 누이와의 일이 잘 되면 통인을 양반이 되게 하고 군관을 시켰다가 나중에 병판이 되면 그를 천만호를 시켜 주겠다고 꼬드기는 말들은 당시의 시대상을 잘 드러내 준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는 “닭의 알로 성을 쌓는다.”라든가 “암탉이 알을 낳으면 수탉이 운다.”라든가 하는 속담들을 교묘히 이용하기도 하였다. 실존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일체의 권위를 부정하고 위계 질서를 전도시키고자 한 민중 해학의 정신이 담겨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있는 『청학동긔』에 합철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통사』4(조동일, 지식산업사, 198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심경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