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승 ()

해경당수초
해경당수초
한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때, 계명의숙을 설립하였으며, 『해경당수초』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보경(保卿)
경재(耕齋)
인물/근현대 인물
출생 연도
1858년(철종 9)
사망 연도
1924년
본관
전주
관련 사건
을사조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계명의숙을 설립하였으며, 『해경당수초』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보경(保卿), 호는 경재(耕齋). 아버지는 상학(象學)이다. 영재(寧齋)이건창(李建昌)의 아우이며 난곡(蘭谷)이건방(李建芳)의 재종형이다. 하곡(霞谷)정제두(鄭齊斗)에서 연원하는 강화학파(江華學派)의 학맥을 이어서 양명학(陽明學)의 사상을 지녔다. 매천(梅泉)황현(黃玹)과 깊이 교유했다.

생애와 활동사항

1906년(고종 10)에는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계명의숙(啓明義塾)을 설립했다. 교육으로서 나라를 살리려는 운동을 전개했다. 또한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를 지지했다.

1910년(순종 4)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자 정원하(鄭元夏)의 뒤를 따라 만주의 회인현(懷仁縣)으로 망명했다. 망명길에 개성에 거주하는 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왕성순(王性淳)의 집에 10일 정도 머물렀고, 왕성순의 스승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또한 이건승과 교유가 있었다.

한편 이건승은 이건창·이건방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정국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또 을사조약이 강압적으로 체결되자 홍승헌(洪承憲)·정원하(鄭元夏)와 함께 자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때에 황현에게 낸 편지에서 “자신은 어리석고 미련해 구차하게 살고 있다.”고 자조적인 말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또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의 진보적 사상에 공감했고, 이건방과 함께 담원(薝園) 정인보(鄭寅普)의 스승으로서 양명학 사상을 그에게 전수했다.

평가

정인보는 이건승을 추모하는 글에서 “아! 생각건대 공께서는 맑은 절개를 스스로 힘썼네. 글이란 사람을 바탕 삼기에 깔끔을 더럽힐세라 깨끗해도 깨끗한 양 여기지 않아 더 한층 털로 닦으셨도다. 종이며 먹도 말끔해서 수염이나 눈썹이 비추일 정도. 게다가 유순하고 아름답기까지 하여 요조(窈窕)한 데까지 더듬어 들어갔네.”라고 하며 그의 인품과 문장의 고결함을 예찬했다. 또 정인보는 그가 고문의 문장을 통해 높은 이치를 탐구하며 깨우쳤다고 술회했다.

한편, 이건승은 정인보의 글을 평가해, 명나라의 귀유광(歸有光)을 닮았다고 하기도 했다. 둘의 절친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건승은 의고문(擬古文)을 배격하고 정통 고문을 높이 평가했다. 또 당시 선비들이 문장을 쓰는 태도를 평가하기를 “세상은 끝장이 나서, 고문 공부를 잘못으로 여기는” 시대가 됐다고 했다.

저서

문집으로는 필사본 『해경당수초(海耕堂收草)』가 전한다.

참고문헌

『담원문록(擔園文錄)』
『강화학(江華學) 최후의 광경』(민영규, 우반, 199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