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근신사 ()

목차
불교
유적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이즈미사노시[泉佐野市] 히네노[日根野]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계통의 이주민 관련 사당.
목차
정의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이즈미사노시[泉佐野市] 히네노[日根野]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계통의 이주민 관련 사당.
내용

일본어로는 히네진자라고 하며, 일명 오이세키명신[大井關明神] 또는 오이세키신사[大井堰神社]라고도 한다. 현재 제신(祭神)으로 모시고 있는 신은 우카야후키아에즈[鵜茅葺不合尊]와 다마요리히메[玉依姬命]로 되어 있다. 이 신사의 창건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10세기 초엽의 문헌인 『엔기식[延喜式]』에 그 이름이 보이는 매우 유서 깊은 신사이다.

그리고 1289년에 성립된 「이즈미국신명장[和泉國神名帳]」에는 이 신사가 정사위하(正四位下)로 추서된 신사로 되어 있어 신앙적으로도 상당한 세력권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센슈지[泉州志]」에 의하면 이 신사는 쇼무왕[聖武王] 때 현재 사카이시[堺市]에 있는 오토리신사[大烏神社]에서 아마테라스대신[天照大神]의 화신인 신봉(神鳳)을 이곳에 불러서 모신 것이 이 신사의 유래라고 적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견해는 이와는 달리 고대에 이 지역을 본거지로 삼고 활약했던 신라 계통의 이주 씨족인 히네노미야쓰코[日根造]의 조상신을 모신 곳이 바로 이 신사라고 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 신사는 이 곳에 이주 정착한 히네노미야쓰코를 대표로 하는 신라인들에 의해 건립되었음에 틀림없다.

히네노미야쓰코는 그의 시조가 오시후오미[億斯富使主]라는 자인데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에도 분명히 신라인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신사는 1353년에 전란을 입어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으며, 그로부터 2년 후 각호아사리(覺豪阿闍梨)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1585년에 도요토미[豊臣秀吉]가 기슈[紀州]를 공격할 때 다시 전화(戰禍)를 입어 일시 쇠퇴하였다.

그 뒤 1600년에 도요토미에 의해 또다시 재건되었다. 또, 1813년에는 이 신사의 신앙권이 확대되어 히네노뿐만 아니라 가미노고[上之鄕]·나가타키[長瀧]·우사이다[兎田]라는 인근 지역민의 신앙도 총괄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당시 신에 대한 제사를 지낼 때의 주축 세력인 미야사[宮座]를 할 수 있는 집안도 한정하였다고 한다.

특히, 이 신사의 미야사라는 직책은 한정된 집안에 의하여 대대로 상속되었는데, 그 주체는 이 지역의 남자였다. 그러므로 만약 어떤 집에서 아들이 없어 외부에서 양자를 받아들였을 경우 그 미야사라는 직책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양자를 같은 미야사의 집안에서 받아들이면 그 자격은 계속 유지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 신에 대한 제사권은 이 지역의 토박이 남자들에 의하여 계승,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제일은 매년 5월 8일로 되어 있다. 또, 과거에는 신불습합(神佛習合)으로 말미암아 이 신사도 같은 지역의 시겐원[慈眼院]이라는 불교 사찰과 한 조를 이루고 있었으나, 메이지(明治) 초기에 신불(神佛)의 분리정책으로 말미암아 현재와 같이 분리되었다. 「사전(社傳)」에 의하면 당시 시겐원의 승려들도 신사의 행사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제사를 주관하는 신주(神主)의 역할도 맡아서 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당우로는 본전(本殿)을 비롯하여 1908년 이 신사에 합쳐진 히메신사[比賣神社] 등이 있다. 1600년대에 건립되었다는 본전이 현재 오사카부의 지정중요문화재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연희식(延喜式)』
『천주지(泉州志)』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歸化人』(關晃, 至文堂, 1966)
「朝鮮關係神社攷」(村山正雄, 『朝鮮學報』 49, 朝鮮學會, 1968)
『歸化人』(金井啓一, 綜芸舍, 1974)
『日本に殘る古代朝鮮』(段熙麟, 創元社, 1976)
『日本と朝鮮』(古留路樹, 現代思潮社, 1981)
집필자
노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