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신사 ()

목차
불교
유적
일본 효고현[兵庫縣] 이즈시군[出石郡] 이즈시정[出石町]에 있는 신라의 왕자 관련 사당.
목차
정의
일본 효고현[兵庫縣] 이즈시군[出石郡] 이즈시정[出石町]에 있는 신라의 왕자 관련 사당.
내용

제신(祭神)은 신라의 왕자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天日槍命]와 그가 가지고 온 여덟 가지 보물을 이즈시노야마에대신[伊豆志八前大神]이라 하여 신으로 모시고 있다.

900년대의 문헌인 『연희식(延喜式)』에는 이 신사의 이름이 이두지좌신사(伊豆志坐神社)라고 표기되어 있다. 이 신사의 제신에 관한 기록은 『고사기(古事記)』·『일본서기(日本書紀)』·『풍토기(風土記)』 등 여러 고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 『고사기』에 의하면 그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옛날 신라의 어느 연못가에서 낮잠을 자고 있던 천한 여인의 음부에 햇빛이 비치더니, 그 여인은 드디어 붉은 구슬 하나를 낳는다. 그 구슬을 손에 넣은 한 남자가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에게 힐책을 당하자 구슬을 주며 용서를 구함으로써 아메노히보코는 구슬을 간단히 자기의 것으로 할 수 있었다.

그 구슬이 어여쁜 여인으로 변하여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의 아내가 된다. 그러나 그의 구박에 못 이겨 그 여인은 일본으로 건너가고 만다. 이를 뒤쫓아 일본으로 가 정착한 곳이 현재 신사가 있는 타지마[但馬]라는 지역이었다. 그러므로 이 지역은 제신 후손들의 본거지인 셈이다.

수이닌왕조[垂仁王條]에서 그의 후손인 다치마모리[多遲摩毛理]의 활약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신라를 정벌했다는 전설상의 인물인 진구황후[神功皇后]도 모계의 선조는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로 되어 있다. 즉, 그녀는 제신의 외손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실은 진구황후의 신라 정벌 전설이 허구임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고사기』에 의하면, 그가 가지고 왔다는 여덟 가지 보물은 옥진보(玉津寶)라는 구슬 두 개와 진랑비례(振浪比禮)·절랑비례(切浪比禮)·진풍비례(振風比禮)·절풍비례(切風比禮)라는 4개의 천, 오진경(奧津鏡)·변진경(邊津鏡)이라는 두 개의 거울이다. 이 보물에 대하여 에도시대(江戶時代)의 학자인 모토오리[本居宣長]는 항해의 안전을 위한 주력적인 도구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일본서기』에는 이 보물이 우태옥(羽太玉)·족고옥(足高玉)·제록록적석옥(鵜鹿鹿赤石玉)·출석소도(出石小刀)·출석모(出石桙)·일경(日鏡)·웅신리(熊神籬)·단협천대도(胆挾淺大刀)로 되어 있어 다소 내용의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유래에 대해서도 약간씩 다르다.

이 신사의 건립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가 죽은 뒤 그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웠을 것으로 추정되며, 845년에는 종오위하(從五位下)라는 관위를 조정으로부터 받았다. 또, 868년에는 정오위하(正五位下), 874년에는 정오위상(正五位上)이라는 관위를 수여받았다. 1285년에는 이 신사의 영토가 141정(町)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아 굉장한 세력권을 형성하였던 것 같다.

그러나 1573년에서 1592년 사이에 도요토미[豊臣秀吉]에 의하여 몰수되었으나, 에도시대에는 그 지역의 통치자였던 센고쿠[仙石] 집안의 귀의를 받아 경제적으로는 안정을 이루었다. 그리고 1871년에는 국가가 지정하는 국폐중사(國幣中社)가 되었다.

현재의 당우로는 본전(本殿)을 비롯하여 신찬소(神饌所)·배전(拜殿)·중문(中門)·회마전(繪馬殿)·관원사(管原社) 등이 있다. 보물로는 남북조시대에 만들었다는 칼이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제일(祭日)은 매년 10월 20일로 되어 있으며, 또 오하나비마쓰리[御花火祭] 1월 22일과 23일에 행해진다.

이 신사의 제신인 신라 왕과 아메노히보코노미코토를 모시는 신사는 이곳 이외에도 시가현[滋賀縣]의 아라신사[安羅神社]·가가미신사[鏡神社], 효고현의 오이시신사[生石神社] 등이 있다.

참고문헌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풍토기(風土記)』
『연희식(延喜式)』
『고사기전(古事記傳)』
『日本の渡來文化』(金達壽·上田正昭·司馬遼太郎 編, 中央公論社, 1982)
『日本と朝鮮』(吉留路樹, 現代思潮社, 1981)
『日本と朝鮮の二千年』(中村新太郎, 東邦出版, 1981)
『日本古代史と朝鮮文化』(金達壽, 筑摩書房, 1976)
『天日槍』(今井啓一, 綜藝舍, 1969)
『歸化人』(關晃, 至文堂, 1966)
「朝鮮關係神社攷」(村山正雄, 『朝鮮學報』 49, 朝鮮學會, 1968)
집필자
노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