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산문집 ()

목차
관련 정보
후산문집
후산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윤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필사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윤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16권 8책. 필사본. 1899년 아들 수용(秀容)에 의해 필사되었다. 서울의 정재길(鄭載吉)이 소장하고 있으며, 1994년 보고사(寶庫社)에서 상하 2책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권1∼권3은 부(賦) 5편, 사(詞) 3편, 시 343수, 권4는 소(疏) 3편, 권5는 서(書) 35편, 권6·7은 서(序) 18편, 기(記) 15편, 제발(題跋) 14편, 잠(箴) 5편, 명(銘) 17편, 찬(贊) 7편, 권8∼권12는 혼서(昏書) 6편, 상량문 1편, 축문 6편, 제문 12편, 애사(哀辭) 6편, 잡저 22편, 수록(隨錄) 67조, 권13은 세가(世家) 2편, 전(傳) 7편, 권14는 묘표·묘갈 각 1편, 묘지 6편, 행장 2편, 권15·권16은 부록으로 연보·가장·묘지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 중에는 「척사만인소(斥邪萬人疏)」 2편이 수록되어 있다. 전자는 1881년 경기소수(京畿疏首) 유기영(柳冀榮)을 위해 지은 것이고, 후자는 제2소수(第二疏首) 신섭(申㰔)을 위해 지은 것으로, 신사척사론(辛巳斥邪論)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서 가운데 전우(田愚)·유시수(柳始秀)·홍대심(洪大心)·유중교(柳重敎)·신기선(申箕善)·홍재구(洪在龜) 등에게 보낸 편지들은 당시 임헌회학파(任憲晦學派)와 이항로학파(李恒老學派)간에 전개된 학설 상에서의 명덕주리(明德主理)와 주기론(主氣論)의 논쟁이 주목되는 자료들이다.

「대소유여영남소수이만손(代疏儒與嶺南疏首李晩孫)」과 「대소유여호서소수한홍렬(代疏儒與湖西疏首韓洪烈)」은 신사척사론 때 경기 유생을 대표해 쓴 편지이다. 당시 오도 유생(五道儒生)들의 상호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로 그 사료적 가치가 높다.

잡저 가운데 「사평(史評)」에서는 저자의 역사관을 살필 수 있다. 「의만언봉사(擬萬言封事)」 상하 2편은 22조에 걸쳐 시무개혁론(時務改革論)을 제시한 것으로, 저자의 현실 인식을 극명하게 표출한 작품이다.

「기자세가(箕子世家)」는 저자의 유교 사관을 엿볼 수 있다. 「창의대장유인석전(倡義大將柳麟錫傳)」은 을미의병과 유인석의 당시 활동을 전한 귀중한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