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참나무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
식물
생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이칭
이칭
재잘나무, 톱날갈참나무, 큰갈참나무
정의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개설

전국에 분포한다. 재잘나무, 톱날갈참나무, 큰갈참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이다. 학명은 Quercus aliena Blume 이다. 나무의 지름은 1m, 높이는 25m에 이른다.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의 갈참나무는 1982년 11월 4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생태

잎은 달걀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의 길이는 5∼30㎝, 너비는 3∼19㎝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4∼8쌍의 뾰족한 거치가 있다. 잎자루는 25∼26㎜로 길다. 잎의 표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다. 뒷면은 회백색이며 별 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암수한몸이다. 수꽃은 아랫부분에서 나며 암꽃은 윗부분에서 난다. 6개의 꽃덮이조각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견과는 타원형으로 상부에 백분(白粉)이 있으며 갈색이다. 뿌리는 심근성으로 맹아력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빨라 재배가 손쉽다.

줄기는 곧고 큰 가지가 발달한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그물처럼 얕게 갈라진다. 계곡부의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이나 산기슭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어린 묘목일 때는 그늘에서도 잘 견디며 자라면서 양수로 변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참나무류는 일반적으로 그 열매를 도토리 또는 굴밤이라 하여 산간지방에서는 겨울식량으로 이용하였다. 또 흉년이 든 해에는 구황식량으로 옛날부터 우리 식생활에 식량자원으로 크게 공헌했다.

도토리에 얽힌 민화에 잿마루의 참나무는 아랫마을 들판을 굽어보며 그 해 농사를 가늠하여 도토리의 수(數)를 제한한다는 옛말이 있다. 즉, 흉년에는 도토리가 많이 달린다는 이야기로 참나무 꽃이 필 5월에 비가 많으면 농사는 풍년이 되고 그 대신 도토리가 꽃받이를 못해 흉년이 들기 때문이다. 이런 과학적인 근거를 몰랐던 옛 조상들은 오랜 경험으로 웃고 넘길 수 없는 민속을 낳고 있다.

떡갈나무나 갈참나무를 옛말로 ‘가랍나모’라고 했다. 이 나무의 잎은 크고 넓어서 주1에 쌀떡을 싸서 쪘다. 이는 계절 민속식으로 이 떡을 ‘가랍떡’이라 했다. 이 풍속은 중국과 일본에도 있어 중국에서는 박라병(薄羅餠)이라 하고 일본에서는 가시와모찌〔柏餠〕라고 한다.

나무는 조경수로 이용되며 목재는 가구재, 숯재, 표고재배재로 쓰인다. 또 타닌을 채취하여 염색제를 만들기도 한다. 큰 줄기는 농작물용 지지대나 벌통을 만들 때 사용한다. 최근 참나무과 잎 추출물의 향균 효과에 대한 연구가 있다.

참고문헌

『새로운 한국수목대백과도감』(이정석 외, 학술정보센터, 2010)
『식별이 쉬운 나무도감』(국립수목원, 지오북, 2009)
『한국식물명고』(이우철, 아카데미서적, 1996)
『한국민속식물』(최영전, 아카데미서적, 1992)
생명자원정보서비스(www.bris.go.kr)
주석
주1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