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 지역을 대표한 학자이자 문신.
이칭
행보(行甫)
미락재(彌樂齋), 낙재(樂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0년(명종 5)
사망 연도
1615년(광해군 7)
본관
달성(達城)
출생지
경상북도 성주
주요 저서
낙재선생일기
주요 관직
청안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서사원은 조선 후기 경상도의 대구 지역을 대표한 학자이자 문신이다. 임진왜란 때 대구 지역 의병운동을 이끌었다. 출신 지역 성격 때문에 이황과 조식의 영향을 모두 받았지만, 동시에 독자적인 성격을 지닌 측면도 있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고제(高弟)였다. 스스로도 문인을 둔 대구 지역 2세대를 대표하는 유학자 중 한 사람이다. 10차례 이상 벼슬을 사양하였으며, 청안현감과 사헌부 지평만 지냈다.

정의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 지역을 대표한 학자이자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행보(行甫), 호는 미락재(彌樂齋) · 낙재(樂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서필(徐弼), 할아버지는 서응기(徐應期), 아버지는 전교 서흡(徐洽)이다. 큰아버지 서형(徐泂)에게 입양되었다.

주요 활동

1577년(선조 10) 28세에 비로소 처음으로 한강(寒岡) 정구(鄭逑)에게 나아가 문인이 되었다. 1579년 30세에 이천정사(伊川精舍)를 지었다. 장현광과 상종하며 강론하였다. 1586년 37세에 도성유(都聖俞)를 제자로 삼으면서 비로소 제자를 키우기 시작하였다.

1588년 39세에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고제(高弟)인 최영경을 만나서 강론하였다. 1590년 41세에는 도산에 가서 이황의 묘를 참배하였다. 1595년(선조 28) 46세에 청안현감(淸安縣監)에 제수되었다. 1610년 61세에는 사헌부 지평을 지냈다.

서사원은 손처눌(15531634), 곽재겸(15471615)과 함께 대구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임진왜란 초기 대구가 왜군에 점령당하자 대구부사 윤현팔공산 동화사에 머물며 군사를 모았다. 서사원과 손처눌도 이곳으로 피란하였다가 대략 6월 말부터 의병을 일으키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서사원 · 손처눌 · 곽재겸은 대구 지역 유학을 이끈 1세대였던 전경창(全慶昌)이나 정사철(鄭師哲)에게 수학하다가 후에 정구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았다. 세 사람은 대구 지역 유학을 이끈 2세대였다. 이들 각자도 문인은 두었는데, 서사원의 문인록에는 113명 이상의 문인이 기록되어 있다. 그 후 정구가 말년에 성주를 떠나 대구 인근 팔거현 등지로 이거하게 되면서 두 사람 사이는 더욱 돈독한 관계로 발전하였다.

한편, 서사원 · 손처눌 · 곽재겸은 정치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이 이언적이황의 문묘 종사를 반대하며 쓴 상소인 「 회퇴변척소(晦退辨斥疏)」에 대해서 많은 선비들이 정인홍을 비판하였지만, 서사원은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낙재집(樂齋集)』이 있다. 한편, 『낙재선생일기』가 근래 계명대학교 도서관 한적 고서 속에서 발견되었다. 1592년 4월 12일부터 선조 28년(1595) 9월 20일까지 3년 4개월 26일간의 일기이다. 대구 의병의 결성 과정부터 활동상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대구 지역 의병 활동사를 밝히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상훈과 추모

1615년 66세에 사망하였다. 대구부 서쪽 30리(약 12㎞) 지점인 파산(巴山)에 묘소가 있다. 대구의 이강서원(伊江書院), 청안(菁安)의 구계서원(龜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국역 낙재선생일기』(달성서씨 현감공파 종중, 2008)
『선조실록(宣祖實錄)』

논문

추제협, 「조선 중기 한강학파의 전개에서 본 대구지역 성리학의 특징」(『국학연구』 36, 한국국학진흥원, 2018)
우인수, 「『낙재일기』를 통해본 대구지역 임진왜란 의병의 활동과 성격」(『대구사학』 123, 대구사학회, 2016)
추제협, 「서사원의 심학과 의병활동」(『동양철학』 44, 한국동양철학회, 2015)
서수생, 「낙재(樂齋) 서사원 선생의 행적과 의병활동」(『동방한문학』 30, 동방한문학회,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