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신의 난 ()

고려시대사
사건
고려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이 일으킨 반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이 일으킨 반란.
역사적 배경

조일신충선왕 때의 공신인 조인규(趙仁規)의 손자이자 충숙왕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조위(趙瑋)의 아들이다.

공민왕이 세자이던 때 원나라에서 숙위(宿衛)했는데, 공민왕이 즉위하자 그 공으로 참리(參理)에 임명되었다. 귀국해 찬성사(贊成事)가 되고 이어 연저수종(燕邸隨從)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그 뒤 왕을 숙위한 공로를 빙자하여 인사권 전단(專斷)기구인 정방(政房)의 부활을 요구하는 등의 전횡을 일삼았다.

그는 공민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원나라가 점차 쇠미해지는 반면 중국 대륙에는 한족들이 궐기하는 상황을 감지하였는데, 공민왕이 즉위하면서 여러 개혁정치를 시행하자 이를 기화로 부원배들을 제거한 뒤 국왕 측근세력으로서의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경과 및 결과

조일신은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어 공신으로 책봉된 뒤 1352년(공민왕 1) 9월 29일, 같은 무리인 전 찬성사 정천기(鄭天起) · 최화상(崔和尙) 등과 모의해 부원배의 중추세력인 기철(奇轍) · 고용보(高龍普) 등 기씨세력을 암살하려 하였다.

그리고 왕이 거처하던 성입동(星入洞)의 이궁(離宮)을 포위하고 직숙(直宿)을 살해한 뒤 왕을 핍박하여 스스로 우정승(右政丞)이 되고 정천기를 좌정승(左政丞)에 임명하였으며, 나머지 무리들에게도 골고루 요직을 안배하였다.

그러나 그는 기철 등이 도망친 데다 자신의 지나친 행동이 지탄을 받을까 두려워한 나머지 자신의 무리들에게 죄를 씌워 최화상을 죽인 다음, 왕으로 하여금 장승량(張升亮) 등 8∼9명을 목 베어 저자에 내걸게 하고 정천기를 하옥시켰다. 그리고 그 공으로 스스로 좌정승이 되고 찬화안사공신(贊化安社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에 공민왕은 1352년 10월 3일 단양대군(丹陽大君)의 저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 과정에서 말 위에 앉은 채로 술잔을 바치는 조일신의 무례한 행동을 몸소 겪게 되자, 전 삼사좌사(三司左使) 이인복(李仁復)을 몰래 불러서 그를 죽일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이튿날 행성(行省)에 나아가 기로대신(耆老大臣)들과 밀의하였다.

1352년 10월 5일 공민왕은 다시 행성에 나아가 김첨수(金添壽)로 하여금 조일신을 붙잡도록 하고 행성문 밖으로 끌어내어 목을 베었다. 정을보(鄭乙輔) · 이권(李權) · 나영걸(羅英傑) · 고충절(高忠節) · 이종(李宗) 등 조일신의 당여(黨與) 28명도 모조리 옥에 가두었다. 이로써 조일신의 난은 평정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원관계의 구조와 고려후기 정치체제」(이익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원간섭기말의 반원적 분위기와 고려 정치사의 전개」(김당택,『역사학보』146, 1995)
「고려 공민왕의 반원적 개혁정치에 대한 일고찰」(민현구,『진단학보』68,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