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관지 ()

목차
관련 정보
추관지
추관지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일원이 형조의 소관 사례를 모아 엮은 등록. 형조등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일원이 형조의 소관 사례를 모아 엮은 등록. 형조등록.
내용

10권 10책. 필사본.

1781년(정조 5) 형조 좌랑 박일원이 형정 · 재판에 관해 참고할 목적으로 국초 이래의 각종 법례 · 판례 · 관례를 모아 5편의 ≪추관지≫를 사찬(私撰)하였다. 정조의 명에 따라 이듬해 의금부에 관한 사례도 첨가했으며, 1791년 중보했다.

체재는 국초 이래 역대 왕의 형정 · 재판에 관한 교지, 명신들의 가부(可否) 논의를 비롯해 율령과 금조(禁條)의 연혁, 증보 · 개폐, 판례 등을 천시의 운행이 24기(氣)임에 착안해 24항목으로 나누고 이를 5편(篇)으로 분류, 서술하였다.

제1편은 10간(干)에 따라 관제(官制) · 직장(職掌) · 속사(屬司) · 이례(吏隷) · 관사(館舍) · 경용(經用) · 율령(律令) · 금조 · 노비 · 잡의(雜儀)의 10개 항목으로 나누어 형조를 비롯한 소속관청의 직제 · 관원 · 경비 · 법전류 및 형조의 문서를 수록하였다.

제2편 상복부(詳覆部)는 5운(運)에 따라 계복(啓覆) · 윤상(倫常) · 복수(復讐) · 간음(姦淫) · 심리(審理)의 5개 항목으로 나누어 형사 재판의 절차를 비롯한 각종 범죄에 관한 250개 판례, 역대 왕의 흠휼(欽恤 : 죄수의 심문을 신중하게 처리함)에 관한 수교(受敎)와 전지(傳旨) 등을 수록하였다.

제3편 고율부(考律部)는 4시(時)에 따라 제율(除律) · 정제(定制) · 속조(贖條) · 잡범(雜犯)의 4개 항목으로 나누어 고문(拷問)의 제거, 형벌의 특혜, 각종 사목 · 율관 · 행형 등과 50종으로 분류된 범죄에 관한 국왕의 판결 · 수교 · 전지 · 선례 · 정식(定式)을 수록하였다.

제4편 장금부(掌禁部)는 3원(元)에 따라 법금(法禁) · 신장(申章) · 잡령(雜令)의 3개 항목으로 나누어 29종의 금령 · 수교 · 전지 · 선례를 수록하였다.

제5편 장례부(掌隷部)는 2지(至)에 따라 공례(公隷) · 사천(私賤)의 2개 항목으로 나누어 공노비 · 사노비에 관한 수교 · 전지 · 선례 · 정식을 수록하였다.

조선왕조 500년의 형정 전반에 걸친 기본 사료로서, 수록된 판례는 『심리록(審理錄)』 · 『흠흠신서(欽欽新書)』와 함께 당시 형사 재판의 실제와 가족 제도 · 생활 규범 · 가치관 등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1939년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증보, 사본을 활자본으로 간행했으며, 1975년 법제처에서 전문을 번역해 원문과 함께 『법제자료』 75∼78집 4책으로 간행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