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 삼묘 ( )

강서 세무덤 중 소묘 정면
강서 세무덤 중 소묘 정면
선사문화
유적
북한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대묘 · 중묘 · 소묘를 지칭하는 용어.
정의
북한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대묘 · 중묘 · 소묘를 지칭하는 용어.
개설

규모에 의해 대묘 · 중묘 · 소묘로 이름지었다. 이 3기의 고분은 분구의 크기는 각각 다르나 모두가 방형분이다.

내용

묘실은 질이 좋은 화강암의 판석으로 축조되었으며, 방형(方形)의 널방[玄室]과 널길[羨道]로 이루어진 외방무덤[單室墳]이나, 천장가구법(天障架構法)은 각각 다르다. 그리고 대묘와 중묘에는 화려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대묘의 분구 크기는 기저부 지름이 약 51.6m, 높이가 8.86m이다. 묘실 구조는 현실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길이 3.05m, 높이 1.69m)과 평면이 방형인 널방(동서 3.12m, 남북 3.17m, 높이 3.51m)으로 이루어졌으며, 천장은 평행 삼각 굄천장이다.

벽화는 돌벽면에 회칠을 하지 않고 직접 그렸다. 네 벽에는 사신도(四神圖)를, 천장 굄돌에는 인동문(忍冬文) · 당초문(唐草文) · 연화문(蓮花文) · 주1 · 신선(神仙) · 산악도(山岳圖) · 주2 · 기린 등을, 천장 덮개돌에는 을 그렸다.

중묘의 분구 크기는 기저부 지름이 약 45.45m, 높이가 약 7.78m이다. 묘실 구조는 남벽 중앙에 달린 2단의 널길(길이 2.94m)과 평면이 방형인 널방(동서 3.9m, 남북 3.23m, 높이 2.5m)으로 이루어졌으며, 천장은 평행 굄천장이다.

벽화는 널방 네 벽과 천장에 그려져 있다. 남벽 입구 좌우에는 주작(朱雀)이, 다른 세 벽에는 청룡 · 백호 · 현무가 세련된 수법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천장 굄돌에는 인동무늬를 그렸고 천장 덮개돌에는 중앙에 연화무늬를, 남과 북에는 봉황을, 동에 일상, 서에 주3, 그리고 네 모서리에는 인동무늬를 그렸다.

소묘의 분구 크기는 기저부 지름이 약 40.90m, 높이가 약 6.8m이다. 묘실 구조는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길이 약 1.45m)과 평면이 방형인 현실(동서 약 3.49m, 남북 약 3.35m, 높이 약 3.03m)로 이루어졌으며, 천장은 평행 3각 굄천장이다. 입구에는 2매의 돌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강서삼묘는 고도로 발달된 축조기술로 축조되었고, 또한 대묘 · 중묘의 벽화는 훌륭한 회화기법으로 섬세하게 그려져 있어, 우리나라 고분벽화 중에서 극치를 이루는 걸작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조선유적유물도감 6: 고구려편 4』(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 외국문종합출판사, 1990)
『한국의 벽화고분』(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朝鮮の建築と藝術』(關野貞, 東京 岩波書店, 1941)
주석
주1

하늘을 날아다니며 하계 사람과 왕래한다는 여자 선인(仙人). 머리에 화만(華鬘)을 쓰고 몸에는 깃옷을 입고 있으며, 음악을 좋아한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2

상서로운 새. 봉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달의 모양. 우리말샘

집필자
김기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