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린록 ()

동린록
동린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효종 때부터 철종 때까지의 당쟁 관계 사실을 모아 수록한 정치서. 잡서.
정의
조선후기 효종 때부터 철종 때까지의 당쟁 관계 사실을 모아 수록한 정치서. 잡서.
서지적 사항

편자 미상. 29책. 필사본.

내용

편차는 나누어져 있지 않으나, 내용상으로는 12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수록된 기관도 권차와 관계없이 내용별로 수미(首尾)와 본말이 갖추어져 있다.

규장각에 있는 책은 각 책 끝에 ‘1928년 박촉탁(朴囑託) 교합(校合)’이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때에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것을 전사합철(轉寫合綴)한 것으로 보인다. ‘동린록’이란 춘추필법에 의해 쓰여진 동방의 역사서라는 뜻이다.

체재는 내용별로 관련된 상소와 비답(批答 : 상소에 대한 국왕의 하답)·계(啓)·연설(筵說) 등이 기록되어 있다. 각 책별 게재 연도와 내용을 보면 제1·2책은 1800년 5월 24일부터 1801년 8월까지의 일로 신유박해 관계를, 제3·4책은 1776년(정조 즉위년)부터 1780년까지의 주요 사건의 상소문을 수록하였다.

제5·6책은 복제문제(服制問題)를 둘러싼 예송 관계의 주요 자료를, 제7∼9책은 1755년부터 1801년 사이의 통문(通文)·상소·토사역반교문(討邪逆頒敎文)·황사영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 등 서학배척·신유박해 관계의 자료를 수록하였다.

제10∼12책은 1721년(경종 1)부터 1722년의 자료로 신임옥사의 전말을 수록했고, 제13∼15책은 신임옥사와 같은 시기의 논의를 초록한 것으로 체재는 다소 다르나 내용은 비슷하다. 제16·17책은 신서파(信西派)의 영수 채제공(蔡濟恭) 등의 신원○추탈에 관한 논쟁과 서교(西敎) 배척 등에 관한 자료를 수록하였다.

제18∼20책은 사도세자(思悼世子) 사건과 관련된 무고(誣告)와 대립, 정조 즉위 후 추존 등에 관한 자료를, 제21∼23책은 영조 즉위 후 신임옥사의 주동 인물에 관한 논의 등을, 제24·25책은 순조 초 신유박해 이후 시파·벽파 사이의 논쟁을 수록하였다.

제26·27책은 순조에서 헌종 초에 이르는 주요 논핵을 연대순으로 수록했으며, 끝으로 제28·29책은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해 정조에서 철종까지 논급된 주요 상소와 탄핵 등을 수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대체로 정권을 장악했던 노론(老論) 입장에서 엮은 것이다. 그러나 효종에서 철종 때까지 주요한 논핵과 상소에 관한 자료를 모아놓은 것이므로 조선 후기의 정론(政論)과 당론(黨論)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당의통략(黨議通略)』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한국당쟁사」(성낙훈, 『한국문화사대계』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6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