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로기략 ()

북로기략
북로기략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정윤용이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함경도 국경 지대의 사실을 모아 수록한 군서. 병서.
정의
조선후기 문신 정윤용이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함경도 국경 지대의 사실을 모아 수록한 군서. 병서.
서지적 사항

4권 4책. 필사본. 서·발이 없고 편자·연대 등이 미상으로 전한다. 그러나 이 책 관방조(關防條)의 안(按)에 “세조조 정유(성종 8년의 착오)에 나의 12대조 익혜공(翼惠公)이 북로병마절도사로 있을 적에 온성의 장성 40리를 쌓았다.”라는 기록과 정원용(鄭元容)의 문집인 『경산집(經山集)』에 수록된 「종제공조참의윤용묘지명(從弟工曹參議允容墓誌銘)」에 “지은 책으로 『문사록(問思錄)』 46권과 『북로기략』 4권이 있다.”라고 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정윤용의 저술로 추정된다.

편찬/발간 경위

익혜공은 세조에서 성종 사이의 문신 정난종(鄭蘭宗)이며, 정원용은 순조에서 고종간의 명신으로 정윤용의 종형이다. 1829년(순조 29) 정원용이 회령부사(會寧府使)가 되었을 때 정윤용이 37세의 나이로 성균관 유생으로 있으면서 종형을 따라갔다. 이 책은 이 때 함경도일대를 돌아보고 그 관방의 중요성을 느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편차 및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산천총요(山川總要)·관방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산천총요조에는 백두산의 지형과 정계비에 대한 전후 사실을 적고 있다. 이 항목에서는 정상기(鄭尙驥)의 『농포지도(農圃地圖)』, 홍양호(洪良浩)의 『삭방기(朔方記)』 등의 여러 기록을 인용, 설명하였다. 「관방」조에는 경흥(慶興)·회령(會寧) 등 국경 지대의 성지(城池)·진보(鎭堡)·영로(嶺路)·봉수·해로·도리(道里) 등에 관한 것을 망라해 기록하고 있다.

권2에는 성적(聖蹟)·주군지(州郡志)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성적」조에는 조선 태조가 이 지방에서 출생해 활동하던 상황과 태조의 선조인 목조(穆祖) 등 4조(祖)의 사적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성지(聖地)’라는 제목 아래 덕원(德源)·함흥(咸興) 등 8개 군의 연혁과 전주 이씨와의 관계를 적고 있다.

「주군지」조에는 산천·이사(里社)·호구(戶口)·전부(田賦)·고적(古蹟)·인물 등을 약술하였다. 그리고 끝에 함흥·관북의 10경(景) 등 도내 명승을 소개하고 있는데, 『동국여지승람』 읍지의 기술체와 동일하다.

권3에는 숙신씨(肅愼氏)·주군연혁·척변(拓邊)·변호(邊胡)·인호(隣胡)·청인시기(淸人始起)·관시(關市)·해구(海寇) 등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여기에서는 함경도 지방이 옛 숙신씨의 땅이라는 것과 그 뒤 고구려·신라·고려로 내려오는 동안의 주군의 연혁, 변방 정책, 호족(胡族)·청인(淸人)의 내력, 왜구(倭寇)의 침입 등 역사적 사실들을 적고 있다.

이 중에 「변호」조에는 여진(女眞)·야인(野人)으로 나누어 적었고, 총록(總錄)에는 이들이 침입한 사실을 적고 있다. 「인호」조에는 달달(達達)·몽고·요심(遼瀋) 등 북방민의 사정을, 「청인시기」조에는 만주일대에 있는 여진족의 융성과 그 세력의 확장 과정 등을 약술하였다. 「관시」조에는 교역에 관한 내역이 있다. 「해구」조에는 왜구의 침입 과정과 그 피해상, 이 지방의 의병 활동을 적은 것으로 임진란의 사료이다.

권4는 부록으로 관제·풍속·부역·군제·변금(邊禁)·학교 등으로 나누어 이 지방의 군정·행정·교육·문화 등 전반에 걸쳐 적은 것이다. 관제의 특수성, 풍속의 더럽고 추잡함, 학교의 미비, 특히 군제의 다양함에 대해 비교적 상술하였다. 「변금」조에는 월경(越境)의 금지, 농민이 몰래 도강(渡江)하는 상황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은 여러 전적에서 그 항목에 필요한 대로 적절히 인용하였다. 또 자기가 현지에서 직접 보고 듣고 느낀 사실을 ‘안(按)’이라 하여 덧붙이고 있다. 이런 만큼 본인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저술이다.

의의와 평가

함경도 지방에 관한 기록으로는 홍양호의 『북새기략(北塞紀略)』 등이 있으나, 이 책도 그에 못지 않은 자료로서 조선시대의 국방·외교·인문·지리관계의 중요한 자료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북새기략(北塞紀略)』(홍양호)
『북관기사(北關紀事)』(홍의영)
『경산집(經山集)』(정원용)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